발해고
보이기
1권본
[편집]- 발해고서 : 왕계도, 박제가의 서문, 류득공의 서문
- 목록 : 군고 신고 지리고 직관고 의장고 물산고 국어고 국서고 속국고 인용서목
- 군고 : 진국공 고왕 무왕 문왕 폐왕 성왕 강왕 정왕 희왕 간왕 선왕 왕이진 왕건황 왕현석 왕인선 흥료왕 오사성부투부염부왕
- 신고 : 대문예-대일하-마문궤-총물아 대야발-대굉림-대신덕 임아상-장문휴 대상청-대정한-대청윤 대능신-여부구 대예 대명준-고보영-대선성 고원고 대원겸 고인의-덕주-사나루-고재덕 서루덕-이진몽-이알기몽 모시몽 양승경-양태사-풍방례 고남갑-고흥복-이능본-안귀보 양방경 왕신복-양회진-달능신 일만복-모창배 오수불 사도몽-고록사-고울림-고숙원-사도선-고규선 장선수 고반죽-고설창 여정림 대창태 [1]고남용-고다불 왕효렴-고경수-고막선-왕승기 왕문구[1] 위균 대소현 고모한 인선제신사실명자[2] 신덕 대화균-대균로-대원균-대복모-대심리 모두간-박어 오흥-승대웅 김신 대유범 은계종 홍견 대광현 진림 박승 최오사[3] 대난하-이훈
- 지리고[4] : 오경 십오부 육십이주
- 직관고 : 문직 무직
- 의장고[5]
- 물산고[6]
- 국어고[6]
- 국서고[7] : 무왕여일본국성무천황서 문왕여일본국성무천황서 강왕여일본국환무천황서
- 속국고[8]
4권본
[편집]주석
[편집]- ↑ 1.0 1.1 고남용부터 왕문구까지 7인은 어느 시대의 인물인지 알 수 없다.
- ↑ 대인선 대의 이름을 알 수 없는 여러 신하들
- ↑ 문헌통고는 오사라(烏斯羅)라 기록되어 있다.
- ↑ 4권본에서 내용이 대폭 증가하였다.
- ↑ 4권본에서 직관고에 편입되었다.
- ↑ 6.0 6.1 4권본에는 삭제되었다.
- ↑ 4권본에는 예문고라 하였다.
- ↑ 4권본에는 정안국고라 하였다.
이 저작물은 번역문으로서 원문과 다른 저작권의 적용을 받습니다. 원문과 번역문의 저작권은 다음과 같습니다.
원문: | Public domainPublic domainfalsefalse |
---|---|
번역: |
이 저작물은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 1.2판 또는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발행한 이후 판의 규정에 따라 본 문서를 복제하거나 개작 및 배포할 수 있습니다. 본 문서에는 변경 불가 부분이 없으며, 앞 표지 구절과 뒷 표지 구절도 없습니다.
Public domainPublic domainfalsefal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4.0 국제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 저작자와 라이선스를 변경하지 않고 분명히 표시하는 한 자유로운 사용과 공유·변경이 가능합니다. 만약 이 저작물을 변경하거나 이를 기반으로 다른 저작물을 만들었을 경우, 기존의 라이선스와 같은 라이선스로 배포해야 합니다.
Public domainPublic domainfalsefal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