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말 규범집 (2016년)
보이기
(조선말 규범집 (2016)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아직 미완성 상태입니다. 이 글에 직접 기여하시려면 도움말과 편집 지침을 참고하시거나, 토론 문서에 의견을 남겨 주세요. |
차례
[편집]- 조선말 '4칙'규범
- 조선말 표준발음법
- 총칙
- 제1장 모음 'ㅚ, ㅟ, ㅢ, ㅖ'의 발음
- 제2장 단어 첫머리의 자음 'ㄴ, ㄹ'의 발음
- 제3장 받침소리의 발음
- 제4장 된소리현상과 관련한 발음
- 제5장 'ㅎ'과 관련한 발음
- 제6장 동화현상이 일어날 때의 발음
- 제7장 사이소리현상이 일어날 때의 발음
- 조선말 맞춤법
- 총칙
- 제1장 자모의 차례와 그 이름
- 제2장 형태소 적기
- 제3장 어간과 토 적기
- 제4장 합성어 적기
- 제5장 접두사와 어근 적기
- 제6장 어근과 접미사 적기
- 제7장 한자어 적기
- 조선말 띄여쓰기
- 총칙
- 제1장 명사, 수사, 대명사와 관련한 띄여쓰기
- 제2장 동사, 형용사와 관련한 띄여쓰기
- 제3장 관형사, 부사, 감탄사와 관련한 띄여쓰기
- 제4장 기타 띄여쓰기
- 조선말 문장부호법
- 총칙
- 제1항 문장부호의 종류와 이름
- 제2항 마침표( . )
- 제3항 가운데점( ・ )
- 제4항 두점(:)
- 제5항 반두점( ; )
- 제6항 빗금( / )
- 제7항 쉼표( , )
- 제8항 물음표( ? )
- 제9항 느낌표( ! )
- 제10항 이음표 ( - )
- 제11항 풀이표( ― )
- 제12항 줄임표( ・・・ )
- 제13항 인용표( "", )
- 제14항 서명표( 《》, 〈〉)
- 제15항 몪음표(소괄호, 중괄호, 대괄호)( ( ), [ ], {} )
- 제16항 드러냄표( _ )
- 제17항 숨김표(○○○, ××× )
- 제18항 빠짐표( □□□ )
- 제19항 같음표( 〃 )
- 제20항 물결표 ( ~ )
- 제21항 인용표나 몪음표 안에서의 부호
- 제22항 제목에서의 부호
- 조선말 표준발음법
- 조선말 어휘규범
- 조선말 명사, 술어의 규범화원칙
(1978년 12월 5일, 동북3성조선어문사업 제2차 실무회의에서 심의, 채택)- 제1장 기존 어휘들에 대한 처리
- 제2장 새명사, 술어에 대한 처리
- 제3장 어려운 한자어와 외래어에 대한 처리
- 제4장 인명, 지명, 국가명칭 등에 대한 처리
- 다듬은 말 처리세칙
(1990년 2월, 중국조선어사정위원회 제6차 실무회의에서 심의, 채택)- 제1장 조선과 한국에서 서로 같게 다듬어진 말에 대한 처리
- 제2장 조선과 한국에서 서로 달리 다듬어진 말에 대한 처리
- 방언어휘사정원칙
(1990년 12월, 중국조선어사정위원회 제7차 실무회의에서 심의, 채택)- 제1장 대응되는 표준어휘가 없는 방언어휘에 대한 처리
- 제2장 대응되는 표준어휘가 있는 방언어휘에 대한 처리
- 조선말 자연과학기술용어의 규범화원칙
(1981년 12월 13일, 동북3성조선어문사업 제4차 실무회의에서 심의, 채택)- 제1장 기존 자연과학기술용어에 대한 처리
- 제2장 새 자연과학기술용어에 대한 처리
- 한어단어의 조선말표기법
(1995년 8월, 중국조선어사정위원회 제9차 실무회의에서 심의, 채택)- 1) 성모
- 2) 운모
- 〈외국어표기법〉통일안
(1990년 2월, 중국조선어사정위원회 제6차 실무회의에서 심의, 채택)- 1. 일본어단어의 조선말표기법
- 2. 영어단어의 조선말표기법
- 3. 독일어단어의 조선말표기법
- 4. 로씨야어단어의 조선말표기법
- 5. 프랑스어단어의 조선말표기법
- 6. 이딸리아어단어의 조선말표기법
- 7. 에스빠냐어단어의 조선말표기법
- 외래어표기세칙
(1990년 12월, 중국조선어사정위원회 제7차 실무회의에서 심의, 채택) - 지명표기세칙
(1997년, 중국조선어사정위원회 제10차 실무회의에서 심의, 채택)- 1. 외국지명의 표기
- 2. 국내지명의 표기
- 외국인명의 조선말표기세칙
(2001년 9월, 중국조선어사정위원회 제14차 실무회의에서 심의, 채택) - 중국 소수민족명칭의 조선말표기세칙
(2000년 9월, 중국조선어사정위원회 제13차 실무회의에서 심의, 채택) - 2007년-2015년 명사술어 통일안
- 악기의 조선어명칭
(2012년 12월, 중국조선어사정위원회 제24차 실무회의에서 심의, 채택)- 1. 서양악기의 조선어명칭
- 2. 중국악기의 조선어명칭
- 조선말 명사, 술어의 규범화원칙
- 부록
- 부록 1: 한국과 조선의 맞춤법 합의안
- 부록 2: 한국에서 규범화한 한자어, 일본어식 한자어 및 외래어
- 부록 2-1: 한국에서 규범화한 한자어
- 부록 2-2: 한국에서 규범화한 일본어식 한자어
- 부록 2-3: 한국에서 규범화한 외래어
- 부록 3: 한국과 조선의 외래어 합의안
- 부록 4: 한국과 조선의 띄여쓰기 합의안
이 저작물은 중화인민공화국 저작권법 제5조에 따라 퍼블릭 도메인입니다. 여기에는 법률 및 규정, 국가 기관의 결의, 결정, 명령 및 기타 입법, 그리고 입법, 행정, 사법에 관한 문서 및 공식 번역물이 포함됩니다. 또한 단순한 사실 전달을 위한 보도나 달력, 수치 표, 범용 서식 및 공식도 포함됩니다.
Public domainPublic domainfalse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