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검색 결과

  • 引見大臣備堂。 ○上御延和門, 拿入懿陵摘奸宣傳官, 決棍。 ○以鄭枋爲承旨。 ○癸巳/平壤幼學崔配浩上疏, 略曰: 宣廟壬辰, 自永柔向江西路, 在平壤府西村抄道洞, 而中路遇大風, 入御于臣六代祖崙家, 經宿而行, 昭載邑誌。 所御家舍, 年久傾頹, 古墟荒蕪, 伏乞特賜竪喪之典。 上特允其請, 親書癸巳年駐蹕處六字...
    160 KB (23,476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18
  • 刷出下道富强之吏與平民, 當年之內, 畢遣入居, 使之樂生, 則庶忘遷徙之嘆矣。 且臣久爲本道沿邊守令, 道路迂直、賊變要衝之地, 或見或聞, 粗嘗知之。 鏡城西村、魚游澗、吾材洞、周乙溫洞、斜麻洞等處, 與東良北相距二三日程。 往者唐人被虜於野人, 自魚游澗洞出來, 野人素知其間之未遠也, 且京都來往野人, 亦皆入宿於鏡城...
    377 KB (62,710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56
  • 令擬議以聞。 백관의 봉장(封章)을 조례 상정 도감(條例詳定都監)에 내려, 상량 의논하여 계문(啓聞)하게 하였다. ○倭寇豐州西村。 왜적이 풍주(豐州) 서촌(西村)에 침구(侵寇)하였다. ○上率百官, 朝太上殿設享, 太上王懽甚。 上起舞, 太上王亦起舞。 沈德符、成石璘侍宴, 夜分乃罷。...
    362 KB (48,882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35
  • ○傳旨兵曹: 京畿漣川城隍堂山、朔寧將軍寺山ㆍ往被古介ㆍ柴古介ㆍ玄壁ㆍ歧伊ㆍ晋禿ㆍ同家ㆍ北山等處、鐵原南山北邊ㆍ水淸山ㆍ冠山、永平支石北邊山、松林 東ㆍ南ㆍ西村ㆍ大德山等處、海豐 東ㆍ南ㆍ北村ㆍ開城ㆍ金浦ㆍ甘露ㆍ木村平等處、平康珍衣村、淮陽任內嵐谷ㆍ星北、金化山站ㆍ末訖川、江陵珍寶驛東ㆍ洪溪驛洞口及伊川、黃海道平山ㆍ海州等處講武場...
    510 KB (71,221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50
  • ‘欲謁新節制使。’ 卽令人傳說: ‘汝等彼土人, 私自來謁不可。’ 所乙好、張三甫等不聽憤怒, 乃率王好乙好、王心波老、高豆乙土、文里赤, 到西村好麟浦, 又使人問其爲來事由, 答曰: ‘將還原住婆猪江, 欲求行糧。 且辭新節制而去。’ 不得已於城外略設饋餉, 仍審其狀, 所率來軍人壯男八十九名、小童十名...
    633 KB (90,612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49
  • 以慰國人之望。” 上曰: “此人等焉免其罪? 但有老親, 故予未斷私情耳, 勿復言。” ○癸未/臺諫復請無恤、無悔之罪。 ○命禁楊州東村、加平南村、朝宗西村等處私獵。 ○甲申/議政府、六曹請無恤、無悔之罪, 命崔閑傳旨曰: “予意盡在下旨, 但宋氏在, 故情有所不忍也。 罪案成, 則雖至宋氏之後, 其罪豈可釋乎...
    374 KB (57,185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43
  • 然其合屬四縣, 連排于漢拿山南面, 若以旌義縣爲本邑, 則狐兒縣、洪爐縣相去三息有餘, 其人民往來, 公事支待及牧場考察等事, 弊實不貲。 宜於中央旌義地西村眞舍及兔山地中, 地利可當處, 邑城排置。 若其防禦則縣監於順風時, 領軍到旌義鎭, 固守防禦。 從之。 ○乙巳/賜對馬島守護宗貞茂米百石。 貞茂遣人來獻土物...
    414 KB (65,184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43
  • 又有紹官安、毛照嘉名二人無票。 其人一髺兩簪, 削髺底之髮, 着斑衣, 衣制周於身。 孟國吉略知書, 以文字問答, 其文不可深曉。 蓋琉球人, 居中山王都內那霸府西村者, 運年貢於該國宮古島, 六月壬戌遇風, 同月丙子, 泊濟州貴日浦, 乞改具碇桅, 早早遣歸國。 濟州牧使李喆模馳聞 上命厚其衣食以遣之, 回諭曰:...
    768 KB (166,090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25
  • 解衣相贈。’ 以臣婢夫海正爲證, 而臣家之自河東, 撤還淸寓, 在二月二十七日, 月小而盡。 一日之間, 雖至親尙未及知, 有何往來之人乎? 且臣家在水南西村, 海正在城底闤闠, 白晝往來之人, 亦難卞知, 況早晨乎? 之洪又以爲: ‘安坐家中, 往復于賊。’ 云而臣於變起之夜, 宿於寓舍, 與李日躋相隣。...
    394 KB (75,655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07
  • 점량부(漸梁部 또는 漸涿部) 또는 모량부(牟梁部) 손씨의 조상이 되었다. 지금은 장복부(長福部)라 일컫는데, 박곡촌(朴谷村) 등 서촌(西村)이 여기에 속한다. 넷째는 취산진지촌(觜山珎支村)빈지(賔之), 빈자(賔子) 또는 영지(氷之)라고도 한다이니, 촌장을 지백호(智伯虎)라...
    149 KB (18,556 단어) - 2023년 10월 31일 (화) 22:37
  • 연희면(여의도를 제외) 일원, 하도면 덕은리 일부 (난지도) 은평면 (恩平面) 은평면 내 신도면 구역에 속하지 않은 지역 숭인면 (仁面) 숭신면 일원, 인창면 휘경원, 답십리, 전농리, 청량리, 회기동, 병점리, 장위리, 석관리, 상월곡, 하월곡, 제기리, 용두리...
    30 KB (221 단어) - 2024년 4월 21일 (일) 2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