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검색 결과

(이전 2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船軍五百十六。】水軍萬戶守禦處六, 龍媒, 今泊州東皮串;【兵船六艘, 船軍四百十一。】 巡威, 今泊康翎縣東無知串;【兵船七艘, 船軍五百。】 大串在長淵縣南;【兵船六艘, 船軍五百二。】 阿郞浦在長淵縣西;【兵船四艘, 船軍四百。】 豐川在豐川郡西業淸江;【兵船四艘, 船軍四百。】 廣巖在殷栗縣西。【兵船五艘...
    7 KB (1,352 단어) - 2023년 5월 20일 (토) 05:34
  • 산해경(山海經) 내경(內經)   東海之内,北海之隅,有國名曰朝鮮;天毒,其人水居,偎人愛之。   西海之内,流沙之中,有國名曰壑市。   西海之内,流沙之西,有國名曰틀:另葉。   流沙之西,有鳥山者,三水出焉。爰有黄金、璿瑰、丹貨、銀鐵,皆流于此中。又有淮山,好水出焉。...
    15 KB (2,610 단어) - 2017년 6월 7일 (수) 12:29
  • 二十七日戊子。晴。午後光陽倅來。 二十八日己丑。晴。出東軒公事。 二十九日庚寅。晴。出東軒公事。 三十日辛卯。陰而不雨。暖如初夏。東軒公事後。射帿。 三十一日辛卯。 石調武。主世要。形䋻頭羅。 初一日壬辰。曉。行望闕禮。煙雨暫灑晩霽。出船滄。點擇可用板子。時水塲內鯈魚雲集。張網獲二千餘箇。可謂壯矣。仍坐戰船上飮酒。與虞候共看新春景色。...
    84 KB (11,314 단어) - 2017년 9월 11일 (월) 11:15
  • (기원32년)에 여섯 마을의 이름을 고치고 성을 주었다. 곧 알천양산은 양부(部)라 하고 성을 이(李)로 하였으며, 돌산고허는 사량부(沙部)라 하고 성을 최(崔)로 하였으며, 무산대수는 점량부(漸部: 一名 弁部)라 하고 성을 손(孫)으로 하였으며, 자산진지는 본피부(本彼部)라...
    19 KB (2,357 단어) - 2020년 2월 2일 (일) 23:46
  • 한국 가면극의 기능보유자 韓國假面劇-技能保有者〔槪說〕 전승연극으로서의 탈놀음은 그 분포가 거의 전국적인 것이었으나 현재로서는 해서지방(西地方)·경기지방·영남지방에 규모있게 전해오고 있다. 이 밖에도 함경도의 북청사자(北靑獅子)놀음, 강원도 강릉의 관노탈놀이(官奴假面劇)가...
    9 KB (1,180 단어) - 2024년 2월 5일 (월) 00:00
  • 曰:「桓楚亡,人莫知其處,獨籍知之耳。」乃誡籍持劍居外,復入,與守坐,曰:「請召籍,使受命召桓楚。」守曰:「諾。」召籍入。須臾,眴籍曰「可行矣!」於是籍遂拔劍斬守頭。項持守頭,佩其印綬。門下大驚,擾亂。籍所擊殺數十百人,一府中皆懾伏,莫敢起。...
    33 KB (7,017 단어) - 2014년 8월 23일 (토) 00:58
  • 亦本不識面矣。 洋衡, 往復書札中凶言, 卽洋交結山人輩, 爲福榮欲除去其挽止下鄕人之計也。 所謂香嶽, 姓是金, 而名則似是鉉字矣, 李玄晟則自稱年過二百, 而臣三次往見, 皆避而不見。 號爲白圓神者, 往來金剛、太白之間, 作書於臣子洋有曰: ‘疇昔之夜, 命君嘉號’ 云。 蓋洋前果夢見異人...
    430 KB (87,326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24
  • 栗、棗、乾柿子、紅柿子、木瓜、石榴、梨、榛實、芡仁、柚子、柑子、榧子、乳柑、洞庭橘、金橘、靑橘、山橘、夌仁、粉藿、常藿、早藿、毛、牛毛、海角、黃角、莓山伊、衣、甘笞、烏子、松茸、石茸、眞茸、蔈膏、薑、蕨、芝草、槐花、梔子、雀舌茶、松花、松烟、松脂、緜花、苧、麻、麻索、各色紙箚、【表箋紙、咨文紙...
    11 KB (2,329 단어) - 2023년 5월 20일 (토) 05:34
  • ○午後。加德,天城,平山浦,赤等官來見。天城萬戶尹弘年來傳淸州李繼簡及庶叔簡。而金介逝於三月云。不勝慘痛。 ○暮。權彦卿令公來話。 初三日甲辰。陰而不雨。食後出坐。各處報狀題送。 ○晩。加里,南桃浦來。權,申兩助防將及防踏,蛇渡,呂島,鹿島。射帿十五廵。 ○朝。南海馳報...
    120 KB (14,864 단어) - 2014년 9월 15일 (월) 17:39
  • ○酉時。碧方望將馳報。倭船六隻入五里,唐項等處分泊云。故卽傳令聚舟。大軍則結陣于胷島前洋。精銳船三十隻。則右助防將魚泳潭。領率勦滅事。初昏。行船到紙島。四更。發船。 初四日壬午。晴。到鎭前洋。倭船六隻。追捕焚滅。楮島。二隻焚滅。...
    111 KB (13,699 단어) - 2014년 9월 15일 (월) 17:37
  • 중국 전토를 유린했으므로 당은 거의 지배력을 잃어버렸고, 907년에는 본래 황소의 한 무장(武將)이었던 개봉의 절도사 주전충(朱全忠:後의 太祖)에게 멸망당했다. 그 결과 중국의 통일은 명실공히 깨어져 버리고 5대 10국의 군벌 쟁패 시대로 되었다.5대 10국 시대(907-960)의...
    31 KB (3,631 단어) - 2024년 2월 4일 (일) 23:57
  •   [二七]芒如之元年,首以玄圭宾于河。注:见《纪年》。《纪年》云:东狩于,获大鱼。《后纪》卷一三下注   案:《太平御览》卷八二引《纪年》曰:‘后芒即位,元年,以玄圭宾于河。东狩于,获大鱼。’   [二八]《纪年》:后亡陟,年五十八。《后纪》卷一三下注...
    26 KB (5,068 단어) - 2023년 5월 20일 (토) 05:45
  •   〔二七〕芒如之元年,首以玄圭賓于河。注:見《紀年》。《紀年》云:東狩于,獲大魚。《後紀》卷一三下注案:《太平御覽》卷八二引《紀年》曰:「后芒即位,元年,以玄珪賓于河。東狩于,獲大魚。」   〔二八〕《紀年》:后亡陟,年五十八。《後紀》卷一三下注案:《太平御覽》卷八二引《紀年》曰:「后芒陟位,五十八年。」...
    25 KB (4,908 단어) - 2023년 5월 20일 (토) 05:45
  • ,齊必伐,齊、交兵而不能相去,王以其間伐韓,入三川,挾天子,案圖籍,此王業也。」王許之。齊王果伐王恐。張儀曰:「王勿患也。請令齊罷兵。」乃使其舍人之楚,借使謂齊王曰:「甚矣,王之托儀於秦也!」齊王曰:「何故?」楚使者曰:「張儀之去秦也,固與秦王謀矣,欲齊、...
    29 KB (6,335 단어) - 2015년 10월 2일 (금) 11:24
  • 원종(元宗)과 애노(哀奴)의 난을 위시하여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죽주(竹州, 竹山)의 기훤(箕萱), 북원(北原, 原州)의 양길(吉), 완산(完山, 全州)의 견훤(甄萱), 양길 부하 궁예(弓裔) 등이 두드러진 반란군의 두목들이었다. 그 밖에 붉은 바지를 입은 적고적(赤袴賊)이란...
    15 KB (1,886 단어) - 2024년 2월 5일 (월) 00:01
  • 안용구(安容九)·최영우·김준덕(金俊德)·전봉초(全鳳楚)·이계성(李桂成)·김희조(金熙祚)·전희봉(全熙奉)·정봉렬(鄭奉烈)·이동훈(李東勳)·양해엽(曄)·김창환(金昌煥)·정진우(鄭鎭宇)·구연소(具然昭)·김재홍(金在洪)·김종명(金鍾明)·김동성(金東晟) 등. 한편 6·25전쟁 중에는 실험악회(實驗樂會)라는...
    35 KB (3,910 단어) - 2024년 2월 4일 (일) 23:59
  • 9년(32)에 개칭하여 6부로 하였다고 한다. 즉 ① 알천 양산촌을 양부(部, 及部), ② 돌산 고허촌을 사량부(沙部), ③ 취산 진지촌을 본피부(本彼部), ④ 무산대수촌을 점량부(漸部, 牟部), ⑤ 금산 가리촌을 한지부(韓祗部=韓岐部), ⑥ 명활산 고야촌을 습비부(習比部)라...
    28 KB (3,273 단어) - 2024년 2월 4일 (일) 23:56
  • 懷柔政策으로 爵을 주어도 초개같이 버리고 悲憤殉死한 憂國志士들의 모습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受爵者 <侯爵> 李載元 李載覺 李昌 朴泳孝 尹澤榮 李昇 <伯爵> 李完用 李址鎔 閔泳麟 <子爵> 宋秉畯 朴齊純 趙重應 高永喜 李容稙 任善準 李載崑 閔泳徽 李琦鎔 李秉武 尹德榮 閔丙奭...
    13 KB (2,671 단어) - 2015년 2월 7일 (토) 02:45
  • 可信。现列于六年。   惠王迁以后称,载籍仍、 魏并用,金文则称,如《上官鼎》(《三代吉金文 存》二.五三)、《廿又七年鼎》(同上三四三), 所铸布币,文为“充釿五十二尚□”、“充釿金尚 □”、“半尚二金尚□”(见《两周金文辞大系》考 释卷首插图六),亦皆称,似尚未见称魏者。...
    107 KB (21,875 단어) - 2023년 5월 19일 (금) 23:59
  • ∼97) 후한 장제(章帝)의 황후. 광무제의 권신 두융의 증손녀. 77년 장제의 비(妃)가 되고, 다음 에 황후로 책립되었다. 장제의 사후 자식이 없어, 양귀인(貴人)이 낳은 황자 화제(和帝)를 세우고, 황태후로서 섭정, 일족은 외척(外戚)으로서 권세를 누렸다. 두헌이...
    31 KB (3,675 단어) - 2024년 2월 5일 (월) 00:01
(이전 2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