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이전 2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조선시대의 회화로서는 드물게 보는 걸작이다.(일본 天理大學 소장) 崔涇 1418년(태종 18년)-? 조선시대 전기의 화가. 자는 사청(淸), 호는 근재(謹齋)이며 본관은 탐진(耽津). 안산(安山)출신이다. 세종 때 도화서의 화원을 거쳐 벼슬은 별제(別提)에 이르렀다....
    57 KB (7,534 단어) - 2024년 2월 5일 (월) 00:00
  • 濊族 ) 은 `와지'라 불렀으므로 지나인들은 예어를 번역하여 옥저라고 한 것이다. 두만강 이북을 북갈사 ( 北曷 ) 라 일컫고, 이남을 남갈사 ( 南曷 ) 라 일컬었는데, 북갈사는 곧 북옥저 ( 北沃沮 ) 요, 남갈사는 곧 남옥저 ( 南沃沮 ) 이니 지금의 함경도는...
    40 KB (4,610 단어) - 2016년 8월 31일 (수) 10:54
  • 注為證,洪頤烜云:「瓚同校《汲冢古文》,正據此條為說。」此似為《紀年》之文,以乏確據,附此。 〔七〕《史記》曰:周孝王七年,厲王生,冬大雹,牛馬死,江漢俱動。《太平御覽》卷八七八咎徵部案:《存真》、《輯校》入輯。《輯校》云:「案《史記》無此事,殆《紀年》文也。」《存真》、《輯校》「大」下有「雨」字,...
    20 KB (4,017 단어) - 2023년 5월 20일 (토) 05:45
  • 欲召見卿等, 有下敎者矣。 今番玉冊文, 旣有堂疏, 則在予爲所重, 靡不用極之道, 必誠必愼, 務無憾, 故使右相改撰, 而日昨見草本, 中間源百之行以下數句, 終欠盡善。 蓋丁丑居廬之事, 卽孝中一端, 而長句兩隻, 皆言此事, 至於事我先朝之純誠懿行, 一不槪言, 此豈揄揚實德之意哉? 故相李領府曾撰玉冊...
    603 KB (126,410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26
  • 聞全州戒嚴, 退軍還。’云。 都承旨金相玉言: “全羅監司鄭孝狀報弼顯發兵事, 而辭語全無驚痛之意, 泰仁去營門六十里, 賊顯之三日習操, 豈不知之? 而泛以偵探爲言, 事極可疑。 宜有處分。” 宋寅明亦言: “狀啓中, 賊將持一封書, 呼城門守將之說, 不無中間可疑之端, 宜拿問孝, 促李匡德赴任。”...
    717 KB (142,952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05
  • 變幻事實, 欺瞞朝廷。 惟以功於高倅, 移罪於坡牧, 自認爲善處之妙計。 比之本罪, 雖有鷄口牛後之別, 亦可謂罪上添罪。 由前由後, 決不可以曠蕩之會, 任渠倖漏於近日太恢之法綱。 然編配實欲鄭重趑趄。 時囚罪人金穆, 卽其坡州地方, 免爲庶民。” ○以嚴晩爲司憲府大司憲, 李頣祥爲司諫院大司諫。...
    768 KB (166,090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25
  • 送于都下富民, 料販取利, 三朔之內, 刑配者, 合爲一百五十六人, 而一竝徵贖, 或之私用。 加捧耗穀, 合爲二千二百餘石。 蔘封進時, 暗標門之蔘, 密囑審藥, 視標而收之, 準給價錢六千兩于其。 樂彬貪饕蔑法之狀, 若是狼藉, 合施當律。 撿律之低仰律文、審藥之幻弄貢蔘, 請刑推遠配。”...
    426 KB (85,620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23
  • “爰立之擧, 亶爲世道。 此時調梅之功, 朝家之鄿向方切, 計今舃, 近止虛佇之, 奚啻如渴? 勿復控辭, 隨卽反面。” ○副修撰鄭東觀上疏曰: “宣廟朝故相臣尹根壽, 嘗乞休官讀書, 獲蒙恩暇。 皇朝高皇帝, 以解縉年少, 特許讀。 且講製文臣之初選也, 聖上許其勿擬, 三司俾專課習。 伏乞許臣鐫名三司之望...
    438 KB (87,562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24
  • 其睦氏及萬壽、仁海等, 不顧禮節, 壞亂人倫, 請皆論罪。” 上但令睦氏離異, 其鄕, 萬壽、仁海勿論。 ○巡禁司啓: “前義州判官吳翰保放, 以待吳希察至, 憑問。” 允下。 ○癸卯/罷吏曹正郞河演、佐郞柳訥職。 司憲府上言: “演、訥, 以文選司, 於十月二十四日, 轉動政參外判, 不安印而下。 請罪之。”...
    240 KB (33,337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39
  • 兼考訓導官勤慢, 月季啓聞, 以憑黜陟, 雖欲不勤, 安敢放肆?” 孟誠等議: “宜移講肄人於承文院, 令本院提調常加糾察。” 申商議: “承文院專習吏文, 司譯院專習漢語, 所任頓異。 習吏文者, 旣不司譯院, 則習漢語者, 於承文院, 臣未知其可也。” 從黃喜等議。 ○咸吉道監司啓: “寧北鎭節制使李澄玉議:...
    671 KB (101,026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53
  • 產非佳種 官昧攻駒 然而執策而臨之曰 國中無良馬 豈眞國中無馬耶 此寒心者不可以指屈也 何謂牧御乖方乎 曰 凡物之性 亦與人同 勞則逸 鬱則暢 曲則舒 痒則劘 雖飮吃待人 亦有時乎自求愉快 故必時解其覊紲 放之水澤之間 以散其愁鬱之氣 此所以順物之性而適其意也 吾東牧馬之法 惟恐絆繫之不固...
    46 KB (12,142 단어) - 2014년 8월 22일 (금) 23:55
  • 工曹判書趙觀彬衝出班外, 呵辟家, 請罷職。 行司直李日躋特畀西閫, 恩出格外, 而西林築城之日, 竭萬人之膏血, 半私用, 城不滿數尺, 人莫不傳笑, 請罷職。 獻陵檜木作板, 事極驚駭。 請陵官拿問嚴處。” 幷從之。 又達曰: “備局堂上責任自別, 而近釆便作循例之窠。 請徐命彬、李益炡、申建、徐命九改差。”...
    255 KB (48,362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09
  • 某日出、某日還來辭緣, 開寫呈于兵曹。” ○禮曹啓: “烏梅牌宣召, 改以命召; 宣牌, 改以命牌。” 從之。 ○戶曹以年飢用不足, 除闕內宣飯外, 各司上直宣飯給一時甁酒點心及外方新設敎導廩給, 竝宜停罷, 從之。 ○癸亥/月食。 ○老上王幸羅菴。 ○吏曹判書鄭易、禮曹判書卞季良、工曹判書孟...
    339 KB (48,993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46
  • “郡守李順銳意撫摩, 而不意以中考遞歸。 願奏天聽, 特爲仍任。” 道臣亦云追恨, 仍勸臣達民情。 況其新倅, 年紀衰耗, 到處不治, 宜遞新仍舊。 寧邊府使鄭壽松專廢公務, 民不見面, 呈訴官門者留連多日, 未免空還, 亦宜罷遞。 批曰: “首件事業已處分, 移配事令備局參量爲之。 李順事,...
    466 KB (86,605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06
  • 則後世徒傳其名而無其臺可知也 而盧君一日得之於蒙古人博明 其所錄示曰 長安話 出朝陽門 循壕而南 至東南角 巋然一土阜是也 日迫崦嵫 茫茫落落 吊古之士登斯臺者 輒低回睠顧 有千古之云 盧君由是憮然罷行 不復言黃金臺 暇日與盧 爲觀東嶽廟廠戱 同車出朝陽門 將逢高太史棫生 高與凌簑軒野同載 謂將尋黃金臺 凌是越中人...
    37 KB (8,340 단어) - 2014년 8월 22일 (금) 23:58
  • 位至宰相。 靖恃寵驕恣, 打殺無辜, 罪惡深重, 乃以功臣, 止流外方, 俄而從便, 還義州。 吉當懷安作亂之時, 潛懷異心, 中立觀變, 情狀現露, 亦以功臣, 止令付處, 未幾宣喚復職。 聖恩深重, 宜益謹愼侍衛, 反懷憤怨, 妄托母疾而。 今當罷私兵之時, 吉與靖, 多聚奸猾之人...
    546 KB (77,432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35
  • ○丁酉/流洪保、李䇕、尹將、秦瓊、李致、崔士儀、趙義、王裨于其鄕; 流李原于竹林, 盧湘于全羅道軍營, 李慥于角山; 李舒、朴苞、閔汝翼、鄭擢、李滉、李之剛等, 以功臣故, 許私第。 홍보(洪保)·이수(李䇕)·윤장(尹將)·진경(秦瓊)·이치(李致)·최사의(崔士儀)·조사의(趙義)·왕비(王裨)는 그 본향(本鄕)으로...
    296 KB (37,867 단어) - 2023년 8월 11일 (금) 00:13
  • 無偏循苟且之言。 雖在伶人, 其志君子哉! 公語范文子, 文子乃知鍾儀君子者, ‘盍之? 晋、楚構兵, 連歲不已, 傷生害命, 有乖天地之氣。 事雖大, 此人旣, 晋、楚罷兵必成。’ 公允其說, 厚待而之。 旣未久, 楚遣人報鍾儀之, 晋之德也。 由是兵解禍消, 數十年無征戰之勞。 此一賤人懷君子之道...
    209 KB (26,412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31
  • 아니ᄒᆞ며 ᄒᆡᇰ실이 두텁 고 고ᇰ겨ᇰ티 아니ᄒᆞ면 비록 ᄆᆞᄋᆞᆯ히나 ᄃᆞᆫ니랴. ○ 君子有九. 視明, 聽聰, 色溫. 貌恭, 言忠, 事 敬, 疑問, 忿雖, 見得義. 군ᄌᆞ(君子)ㅣ 아홉 ᄉᆡᇰ각홈이 이시니 봄애 ᄇᆞᆰ음을 ᄉᆡᆼ각ᄒᆞ며 드 롬애 총홈을...
    410 KB (72,665 단어) - 2021년 3월 24일 (수) 13:55
  • 每當聖上之有過擧, 必爲之曲意迎合, 只取寵擢, 終使過擧, 只在於上寵, 數自於下職。 此而義理無辨, 名節掃地, 官方日以益輕, 倖門日以益啓, 世道人心已至於莫可收拾。 抑臣於向者聖明之待儒賢, 深有所訝惑者。 殿下旣擢長天官, 共天位, 召命之下, 士皆拭目, 儒賢亦感激殊遇, 幡然造朝。 袖中短箚...
    322 KB (60,512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09
(이전 2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