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검색 결과

  • 화엄사상은 귀족사회에 크게 환영되었던 것이므로 원효나 의상 외에도 많은 승려들이 이를 연구하였다. 정토사상(淨土思想)에 있어서는 태현(太賢)·의적(義寂)·법위(法位) 등이 나와서 정토신앙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지만, 그들은 다 같이 원효의 학풍을 이어받아 <무량수경(無量壽經)>과...
    40 KB (5,071 단어) - 2024년 2월 5일 (월) 00:00
  • <금강반야요간(料簡)> <4분률갈마기> <법원기(法苑記)> <사비니기(捨毘尼記)> 등이 있다. 大賢 일명 태현(太賢). 8세기 중엽 신라 경덕왕 때의 중. 유가(瑜伽)의 조사. 호는 청구사문(靑丘沙門). 다방면에 학식이 깊고, 교학의 연구로 많은 저술을 남겼는데, 특히...
    34 KB (4,300 단어) - 2024년 2월 5일 (월) 00:00
  • 회남자(淮南子), 금문학의 입장에서 천인 관계와 음양설, 유자지학과 재이지변을 말하는 동중서, 유도2가(儒道二家)의 학을 혼합하고 <태현(太玄)>과 <법언(法言)>을 지은 양웅(揚雄)을 들 수 있다. 신비사상으로 차 있던 한대에 있어서 허망(虛妄)을 미워하여 <논형(論衡)>을...
    109 KB (13,564 단어) - 2024년 2월 5일 (월) 00:00
  • 걸작들이 무수하게 있지만 가장 주목되는 것이 용장사(茸長寺)의 불상들이다. 용장사는 신라 법상(法相宗)의 시조로 유명하던 태현법사(太賢法師)가 살던 곳으로, 아직도 태현법사가 불상을 돌면 같이 따라 얼굴을 돌렸다는 전설이 있는 장륙미륵존상(丈六彌勒尊像)이 남아 있다...
    77 KB (8,584 단어) - 2024년 2월 5일 (월) 00:00
  • 김영슈 김화군 박쥰셥 쳘원군 김ᄌᆡ협김셩군 고셩환 랑쳔군 길운셕 회양군김ᄐᆡᆨ규 지평군 우태졍 인제군 니계일 횡셩군 홍슌혁 양근군 졍태현 평강군 김응환 양구군 황긔졍 홍쳔군 윤영만ᄂᆡ부 참셔관 니츙구 원산 경무관 유한익참위 홍병진 한셩부 쥬ᄉᆞ 셔창보 김원표니한응 등을...
    28 KB (3,127 단어) - 2023년 3월 19일 (일) 22:29
  • <인왕반야경>을 강독하는 도장의식인 것이다. 특히 신라 승려들의 <인왕반야바라밀경>에 대한 연구는 대단하여 원측(圓測)의 <인왕반야경소> 6권, 태현(太賢)의 <인왕반야고적기(古迹記)> 1권, 현범(玄梵)의 <인왕반야경소> 2권, 예원(禮元)의 <인왕경주(注)> 4권이 있다. 신라에서...
    46 KB (5,568 단어) - 2024년 2월 5일 (월) 00:00
  • 보여준다. 揚雄 (B.C.52-A.D.18) 전한 말기의 학자. 자는 자운(子雲), 촉(蜀)의 청두(成都)에서 출생함. 그의 저서로는 <태현(太玄)> <법언(法言)> 등이 있다. 그는 우주 본체가 현(玄)이라고 생각했다. 현은 비록 허정(虛靜)하지만 그 안에 소장(消長)하는...
    33 KB (3,877 단어) - 2024년 2월 4일 (일) 23:59
  • 삼동의 교법을 돕는 4부(部)를 의미하는데, 이에는 태현(太玄)·태평(太平)·태청(太淸)·정일(正一)의 4부가 있다. 태현은 동진을, 태평은 동현을, 태청은 동신을 돕고, 정일부는 삼동 전체를 통일한다는 의미를 갖는다(天台의 一乘三乘의 관념을 빌린 것). 그리고 삼동은 각각...
    71 KB (8,440 단어) - 2024년 2월 4일 (일) 23:57
  • <온공의맹(溫公疑孟)>에서의 맹자 비판(孟子批判)과 <잠허(潛虛)>에서의 형이상적 사유이다. <효경(孝經)> <역(易)> <노자(老子)> <태현경(太玄經)> <대학(大學)> <중용(中庸)> 등의 주해(註解)도 중요한 저작이다. 資治通鑑(1084) 사마광(司馬光)의 주저(主著)...
    92 KB (12,265 단어) - 2024년 2월 4일 (일) 23:59
  • 살림이 넉넉해 자선가로서도 도내에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 일찍이 진해현감을 지냈으며 6남3녀를 뒀다. 여섯 아들은 장남 태진, 차남 태현, 3남 태훈(泰勳·나의 아버지), 4남 태건, 5남 태민, 6남 태순이었다. 여섯 형제는 모두 글을 썩 잘하고 살림도 넉넉했다. 그런데...
    131 KB (14,234 단어) - 2015년 11월 14일 (토) 1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