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이전 2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불칭추평(不稱錐) 저자: 김소월 그대가 평양서 울고 있을 때 나는 서울있어 노래 불렀네 인생은 물과 구름 구름이라고 노래 노래 부르며 탄식하였네 홍릉(洪陵)에 넓은 동산 풀이마르고 고향의 강두덕에 자개 널리니 지금은 속속들이 생각이 나며 그대 그대 부르며 나는 노라 그대는...
    726 바이트 (108 단어) - 2019년 10월 28일 (월) 01:32
  • 作峰回路轉之勢 上置數楹虛閣 俯瞰城闕 又行數十步 石龍昂首 其下爲方池 甃石爲溝 屈曲蜿蜒 似是流觴之所 而轉機汲水之物 無一存者 山前有石牀玉 又行數十步 有三層圓臺 其制如旋磨 其下 又有新踣殿閣 山中萬石崢嶸 無一傾側 而壞墻敗瓦 在在愁亂 吾聞皇帝於西山 窮極土木 而獨於禁苑咫尺之地...
    37 KB (8,340 단어) - 2014년 8월 22일 (금) 23:58
  • 何可不曲諒乎? 所請特允, 卿須體此慇懃之意, 閑調養, 以時起居, 毋墜舊典。” ○以金致仁爲奉朝賀, 以具善復爲漢城府判尹。 ○壬午/獻納李謙彬啓, 請李弘濟拿鞫嚴問, 不允。 又啓曰: “李弘濟罪惡何等重大, 而逆邊嚆矢之敎, 所關不細, 請前獻納李罷職。” 從之。 ○癸未/次對。 以李福源、趙㻐爲備邊司提調。...
    598 KB (125,661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22
  • 盞잔 잔 樽술준 준 壺병 호 缸항 항 瓮독 옹 甁병 병 盆분 분 槽쥬조 조 桶통 통 鼎솟 뎡 鑊가마 확 甑시로 증 釜가마 부 斛휘 곡 평목 펵 升되 승 斗말 두 瓢ᄇᆡ 표 篩체 ᄉᆞ 機틀 긔 梭뵈북 사 炭숫 탄 爐화로 노 鐵쇠 텰 臼학 구 籠롱 롱 函함함 欌장 장 樻궤...
    879 바이트 (4,899 단어) - 2023년 10월 27일 (금) 16:46
  • 中國器物無不來者 我國不以水道通南貨 故文獻尤貿貿 不識三王事者 全由此也 日本通江南 故明末 古器書畵書籍藥料輻輳長崎島 今蒹葭堂主人木氏弘恭 字世肅 有書三萬卷 多交中國名士云 班禪所居 前後鏡 左鍾玉 上盤水 下寶刀 晝日焚香 哦然一笑 卽今戶部尙書和珅 皇帝寵臣也 兼九門提督 貴振朝廷 皇帝誕日 余至山莊門外...
    57 KB (12,798 단어) - 2014년 8월 22일 (금) 23:58
  • ○掌令李ㆍ高益擎、獻納李重馥奏曰: “刊版人韓翼謩、洪麟漢在於具瞻之位, 不顧所重, 敢以不必知無足憂等說, 肆然陳奏, 欲爲依違彌縫之計, 萬萬無嚴, 不可刊版而止。 臣等謂刊版人韓翼謩、洪麟漢門外黜送。” 上曰: “旣已處分, 尊國體嚴邦憲, 其何加律? 不允。” 曰: “吏曹參議朴師海...
    306 KB (54,602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18
  • 深爲嘉奬, 着加賞內府, 仿宋板五經全部, 竝筆墨等物, 以示眷。 此乃尋常賚, 不必專使謝恩。” 欽此。 自內閣特頒仿宋板五經全部十二套、硯一方、花箋紙二卷、徽墨四匣、湖筆四匣、嵌玉如意一柄、文竹盒四個、玻瓈器四件、磁器四件、縐四疋、程鄕繭四疋、紅絲寧紬四疋、紅氆氌四個。 禮部招任譯傳給,...
    430 KB (87,326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24
  • 於筵中繼奏湖南擧子八十二歲人, 請除同中樞, 上除五衛將。 老之典, 太濫於上, 干恩之請, 又發於下, 老者皆生僥倖之心。 ○上召見太學掌議, 以其不知李漢運疏, 命黜齋。 ○壬寅/領府事金致仁上疏辭史官偕來之命, 以‘策書嚴重, 藏在名山’爲自引之端, 上批答之, 仍命偕來。 先是致仁之被譴也, 上命群臣...
    232 KB (36,208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17
  • 하고 흑의(黑衣=僧衣)를 못 입게 하며, 만일 중이 된다고 해도 절에 들어가지 못하게 했다. 사상(史上) 간진의 자손을 올려 평정호손(定戶孫)을 삼고 표창했다. 이때 원측법사(圓測法師)는 해동의 고승이로되 모량리인이기 때문에 승직(僧職)을 주지 않았다. 처음에 술종공(述宗公)이...
    60 KB (6,962 단어) - 2024년 2월 5일 (월) 00:01
  • ○行夕講。 ○上特命遣禮官, 致祭道峰書院。 ○王世子坐德成閤, 承旨持公事入對。 承旨成天柱, 以雷異, 略陳勉戒, 令曰唯。 ○庚辰/流星出天倉星下, 入南方, 色赤。 ○持平李蓍廷上書, 以雷異陳戒, 王世子答。 ○三相, 以災異陳戒辭職, 王世子答不許。 ○辛巳/上御熙政堂, 諸承旨持公事入侍。...
    247 KB (39,470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12
  • 曹與訓鍊觀, 一同試取, 今文科館試, 禮曹不與。 武科觀試, 依文科例, 令訓鍊觀獨試。” 從之。 ○癸巳/視事, 輪對, 經筵。 ○命工曹京外()〔秤〕子, 竝皆校正改造。 ○甲午/受朝。 ○刑曹判書鄭津卒。 津, 奉化縣人道傳之子。 洪武壬戌, 拜郞將, 累遷司宰令、典農正。 壬申, 太祖初卽位...
    510 KB (71,221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50
  • 大臣皆謂宜頒士卒, 予乃矜憐, 令男婦不混處, 館穀如待賓客。 滿住子也多好, 給衣食, 待之以禮, 終乃竝還本土, 亦足爲感矣, 而猶不感焉。 其後滿住所遣人, 或以爲不宜上送, 予不計驛路殘弊, 許令上送, 給衣食, 所言皆聽。 又告饑我, 請賜米糧, 予乃矜恤, 連賜米粟, 以延其生, 有人心者所宜感悅...
    595 KB (104,009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53
  • 以遂供億之事。 予在民上, 眷玆耆老, 已令中外擧行饗禮, 又復子孫, 庶追先王之制, 然徒有惠養之名, 未著崇之實。 載稽古典, 唐玄宗於高年男女, 板授封爵, 宋太宗賜爵一級, 崇耆老之典, 昭然可考。 今可授年九十以上, 白身八品, 元職九品以上, 各陞一級, 百歲以上, 白身至元職八品者六品...
    542 KB (79,129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53
  • 辭職例事, 容何如?” 李克墩議: “臺諫當盡言、極諫, 如不得其言, 則辭職求去, 例事也。 人主所當容, 事之可從者, 則當嘉納無留, 如不可從則當曉其不可從之意, 使上下情志交通, 可否相濟, 以求治道。 今立廟立主, 當初出自宸衷, 再與大臣擬議而施行。 臺諫、侍從皆執不可, 至五六朔而不已...
    795 KB (163,897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1:17
  • 請罷韓晩裕職。” 從之。 於是, 議政鄭弘淳出城, 上連加慰諭, 弘淳屢疏祈免。 批不許。 殷模又避嫌敎曰: “立殿陛之間, 與宰相相可否者, 臺臣也。 語及乘輿, 天子動色, 以其言之是也, 職之重也。 容臺閣, 固爲美事, 而如有非情之言、肆憤之說, 未嘗以臺閣而不置辟, 此乃明好惡也。 大臣...
    434 KB (88,927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23
  • 而徒懷憤世之心, 不知辭語之過。 且與珥爲莫逆之交, 以善善之長, 而不知其短, 以至此耳。 其言固爲失中, 而其情亦豈可深咎哉? 臣竊願, 殿下於此, 深留聖意, 處置停, 於珥則諒其本心, 而知其踈謬之病; 於三司則抑其浮躁, 而察其士類之本情, 開誠曉解, 坦懷無阻, 不沮不挫, 潛消鋒穎, 則庶乎其可也。...
    155 KB (33,840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1:26
  • 然必以布帛穀粟之類易之, 然後乃得。 今國家以州縣之殘盛, 定貢鐵之多寡, 州縣以所耕多少, 分賦民。 賦民之際, 或輕重不倫, 至收鐵之時, 守令不親監考, 令品官鄕吏輩監考, 愚民不識(目)〔秤目〕, 姦黠之徒, 多方以欺之。 愚者易瞞也, 弱者易制也。 一有不副, 則鞭撻隨之。 愚民惟以準納爲幸耳...
    320 KB (52,465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40
  • 量定別送賙賑。】 ○命昌城尉黃仁點、西溪君熠, 給衣資食物。 以仁點, 先朝儀賓中高年也, 熠, 宗親中最老, 而付職過回甲也。 又命耆社堂上夫妻偕老人, 幷加給米肉, 以示是歲尊年之意。 ○諸道百歲以上老人加資下批, 凡五十六人。 ○下綸音八道、兩都曰: 農者, 君之所資民, 民亦以爲天。...
    500 KB (103,263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25
  • 引義不行操也。 尋復授之。 ○正言李濟萬啓曰: “都民休戚, 係於司寇。 自李之拜佐貳也, 請托公行, 謗言已多, 而閭閻少婦, 冒犯乘轎, 推捉勘罪, 自有法例, 而發視蓋頭, 指點姘媸, 皀隷驅逼, 徵索無節。 請刑曹參議李罷職。” 從之。 ○冬至兼謝恩正使昌城尉 黃仁點在燕馳啓言: “臣等於入燕時...
    426 KB (85,620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23
  • 則後無有言之者。 伏望容。” 上曰: “予豈以劾大臣爲過哉? 假使秩卑者掌試, 而諫院之請如此, 予當責之。 今爾等宜劾諫院, 何反以責諫院爲非? 以言官而所言失中, 焉能就職?” 自弘又啓曰: “臣所言, 亦非以諫院爲是也。 諫院所言, 雖有失中, 然古之人主於耳目之司, 率皆容, 今若罪之, 則恐塞言路。”...
    496 KB (80,432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54
(이전 2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