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검색 결과

(이전 2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正路俗呼埇道正道 𨹸 챠면〮담〮죠〯 俗呼𨹸壁又呼埇𫮰 𢋿 집ᄌᆡ 燕名茅舍俗通作齋學宫有東西𢋿 원〯 垣𫮰內又落ᄠᅳᆯ〮 廠 허간챠ᇰ〯 如工作𠫇俗呼廠房 가개브ᇰ 如本國遮楹又山䑓曰鰲 軒 딕누리헌 闌板曰軒又車廂也 檻 딕누리〮함〯 攔也 欄 란간란 遮欄抣欄 楯 쳐ᇰ널〯슌〯...
    5 KB (691 단어) - 2019년 7월 21일 (일) 16:06
  • 而公以冡宰尙在中書 古今所未有 奇哉 作詩以記卓異 十年黃閣佐昇平 三闢春闈獨繵盟 國士從來酬國士 門生今復得門生 風雲變化混擊 布葛繽紛鶘魯明 金掖一盃公萬壽 玉笙宣明喜遷鶯 回文詩起齊 盖文字中戱耳 昔竇稻妻織錦之後 杼袖猶存 而宋三賢亦皆工焉 南徐集中所載盤中禮 雖連環讀之可以分四十首 其韻尙諧 然血脈不相聯...
    14 KB (3,743 단어) - 2016년 5월 24일 (화) 07:24
  • 전념했다. 다음으로는 과거(科擧)의 시험과목에 희곡이 추가되었음을 들 수 있다. 이 주장은 명대(明代) 장진숙(藏晉叔)의 <원곡선(曲選)>(人百種曲)에 의하나 관리시험이 폐지되었기 때문에 그것은 이유가 되지 않는다고 반대하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이 시대의 극작가 대부분이...
    49 KB (5,745 단어) - 2024년 2월 5일 (월) 00:00
  • “予斷不用大棚矣。 雖茶亭之, 亦欲罷去, 當以此意, 諭諸政府。” 舍人李禮長將本府議啓曰: “綵雖爲弊法, 然慶事不可廢也。 臣等謹稽, 綵之制, 大長則七十五尺, 廣六十尺, 中則長六十尺, 廣四十尺, 請設中, 以飾茶亭。” 命召許詡, 引見曰: “止設中, 飾茶亭可矣。” 許詡對曰:...
    225 KB (43,846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1:07
  • 時謂天道之應。 ○朴崇敬子孝等上書曰: “據於誑誘祖母, 妄訴臣父不孝條件, 陰謀致害, 反受天殃, 四齒無故墜折, 又暴死獄中, 天道不僭如此。 遣朝官, 更加閱實。” 又川寧人崔彦等十九人聯名上書曰: “兪氏於夫死後得心風, 或非時橫行里閭, 或驅逐馬牛于田野, 所爲狂妄, 專信據於讒訴, 以崇敬爲不孝。...
    377 KB (62,710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56
  • 囑他風雨反逢嗔 自從洞裏修甁史 三百六旬都是春 右留春洞 玉麈淸宵獨上臺 杞霜落雁流哀 一聲劃裂秋雲盡 萬里瑤空皓月來 右嘯月臺 花蘂夫人初入宮 含羞將語臉先紅 鸚哥舍利非妙 誰識阿難悟道功 右語花軒 圭寄其所著繪聲集 刻本一卷 請余序之 觀其集 淸虛灑脫 類不火食者 自弱冠時 藉父緖業 招延海內詞客...
    51 KB (12,246 단어) - 2014년 8월 22일 (금) 23:57
  • 此在壬寅四月間事也。 泰仁李哥, 常在瑮家, 所謂度中, 生員在笠洞者, 亦往來, 言醫術及地術。 且聞其與瑮酬酢之言, 則河東地甚好, 可以往居云。 又聞河東文哥與哥爲四寸, 而頗知陰陽之術云矣。 其後往見瑮之山地於驪州新知驛村, 而瑮作書於驪州哥, 故果傳之矣。 至於李奎運事, 去年正月間, 往咸興故鄕...
    430 KB (87,326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24
  • “溫公所作如何?” 曰: “渠亦只見荊公不是, 便倒一邊. 如東坡當初議論, 亦要變法, 後來皆改了.” 又問: “神宗豐之政, 又卻不要荊公.” 曰: “神宗盡得荊公許多伎倆, 更何用他? 到豐間, 事皆自做, 只是用一等庸人備左右趨承耳.” 又問: “明道橫渠初見時, 皆許以峻用. 後來乃如此, 莫是荊公說已行...
    78 KB (18,185 단어) - 2024년 6월 16일 (일) 21:23
  • 가져올 것이 분명했기 때문에 한국정부는 이에 대한 사전준비 대책으로 평화선을 선포하게 된 것이다. 동선언의 주요골자는 인접해붕(隣接海)에 대한 국가의 주권을 보존·행사하며(1항), 수산업과 어획업(漁獲業)을 정부 감독하에 두고(2항), 동선의 위치는 새로운 정세에 맞추어...
    34 KB (3,591 단어) - 2024년 2월 5일 (월) 00:00
  • 될 가치가 있다고 외치면서 우선 그 방침에 대한 宣傳策으로 日文紙 朝鮮新聞을 창간하여 거기의 社長이 되었다. 그리하여 가가호호에 神備置運動을 열광적으로 전개하고 자기 집안을 모두 倭式으로 꾸미고 심지어 妻子까지 倭服을 입히었으며 禮儀 動作 言語까지 倭式으로 개량시켰다...
    99 KB (13,581 단어) - 2015년 2월 7일 (토) 14:43
  • 親審訪問以啓。 ○禮曹啓: “謹按唐《開禮》皇太子納妃儀, 冊妃在親迎之前。 請今王世子嬪冊封, 除別立都監, 令吉禮色, 考前儀軌施行。” 從之。 ○禮曹啓: “今修撰色所進新《續六典》及《六典》, 請令鑄字所印八百件, 頒京外各衙門後, 收舊《》ㆍ《續典》。 且《謄錄》, 可行一時, 非永世之典...
    542 KB (74,848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49
  • 輟朝三日。 諡靖, 恭己鮮言靖, 行義悅民。 子孝孫、孝順、孝完、孝康、孝全。 ○閔生啓曰: “全義率軍至連山, 則把截官必拘留, 報都司。” 上王命朴訔、李原、趙末生議, 訔等亦曰: “宜令義與李勗追尋至八站而還, 不可到連山。” 義至廣灘路上, 遇溫奴乃還。 ○罷尙衣別監任君禮、金乙賢、辛頤、張合等職...
    339 KB (48,993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46
  • 禹貢碣石 近在縣西二十里 曹操詩東臨碣石 以觀滄海者 是也 昌黎縣有韓文公廟 又有韓湘廟 唐書本傳 公爲鄧州南陽人 廣輿記以爲昌黎人 宋豐間 封公爲昌黎伯 及時 始立廟於此 有文公塑像云 吾平生夢想文公 遂遍約諸人 爲伴遊計 而無肯行者 蓋迂行二十里也 有難獨往可嘆 行歷東嶽廟 庭有五碑 殿上金字題曰東嶽大帝...
    57 KB (14,327 단어) - 2014년 8월 22일 (금) 23:55
  • 明白置簿, 待豐年更採。” 從之。” ○壬寅/右獻納自直於日朝賀, 不揷冠簪, 憲司以牒劾之。 其牒誤書年月, 乃曰: “正統五年六月初一日。” 自直封還之, 憲司具辭引嫌, 上不許。 大司憲朴安臣、掌令閔厚生、持平李禮孫等啓: “自直答本府劾牒曰: ‘憲司誤書年月, 尙不避嫌。 且大司憲脫帶隨班...
    491 KB (85,034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54
  • 莫大於受誥命、冕服, 結綵以迎之可也, 然綵有儺禮戲謔之事, 茶亭則無儺禮, 宜以茶亭迎之。’【設小綵, 前列人獸雜象, 從後植大筒注水, 水自雜口中逬出高通。 俗謂之茶亭。】此言然乎?” 僉曰: “綵《藩國儀注》所不載, 且方在喪中, 不可爲也。 茶亭雖非戲謔, 亦不可也。” 上曰: “結綵迎命, 本國風俗...
    750 KB (144,461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1:07
  • 且使人於使臣之行, 先告殿下未寧之由, 使之知會可也。” 於是遣摠制閔生, 往碧蹄驛。 ○己卯/使臣昌盛、尹鳳、白彦入國, 上率王世子以下文武群臣, 幸慕華樓迎勑, 至景福宮行禮如儀。 城門鍾樓及橋梁皆結綵, 宮城門外, 結綵設雜戲。 其勑曰: 勑至, 王卽選取馬五千匹進來, 以資國用, 當酬以直...
    510 KB (71,221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50
  • 勿收告身, 句問。” 從之。 初祔廟時, 軍器監構彩, 多收夫匠雇直, 數招倡女酣飮, 孝明因奸麿加之, 至祔祭之夜, 亦於齋所淫焉。 ○議政府據禮曹呈啓: “黃海道鳳山郡金德連、忠淸道扶餘縣徐恭ㆍ禮山縣李開祐、慶尙道慶州許調ㆍ彦陽縣朴孝ㆍ金海府宋允和等, 其親得惡疾, 竝斷指和藥以進, 疾皆愈;...
    386 KB (71,156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1:09
  • 除人吏、官奴、驛子等, 必當還本者及各色軍內自願還本者外, 一皆推訪, 許令時居屬籍, 竝充船軍, 俱於慶尙道露、仇良等處赴防。 右兩屬船軍, 移屬於加背、見乃等處, 自餘各船軍, 以次移屬訖, 將所餘慶尙道船軍, 以充各色軍, 流移全羅, 轉爲船軍者之額, 則民無轉輾之苦, 軍有整齊之實。...
    678 KB (91,457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47
  • 歷代典禮之可據者如此矣。” 弘文館啓言: “日祈穀, 始見於《禮記》。 《月令》孟春之月註曰: ‘日, 上辛也。’ 觀其文勢, 雖若在於迎春東郊之後, 而泛言是月日, 其釋辰則曰: ‘郊後吉日。’ 其釋日, 則只曰上辛, 而無立春後上辛之明言者。 《穀傳》曰: ‘以十二月下辛, 卜正月上辛;...
    500 KB (103,263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25
  • 輟朝三日。 諡靖, 恭己鮮言靖, 行義悅民。 子孝孫、孝順、孝完、孝康、孝全。 ○閔生啓曰: “全義率軍至連山, 則把截官必拘留, 報都司。” 上王命朴訔、李原、趙末生議, 訔等亦曰: “宜令義與李勗追尋至八站而還, 不可到連山。” 義至廣灘路上, 遇溫奴乃還。 ○罷尙衣別監任君禮、金乙賢、辛頤、張合等職...
    348 KB (49,378 단어) - 2020년 10월 9일 (금) 09:25
(이전 2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