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검색 결과

  • 收拾[수습]하기 爲[위]한단 하나의 善後策[선후책]으로 電車[전차]가 東大門[동대문]까지 到着[도착]하기前[전]에 本券[본권]과 承換券[승환권]을 한꺼번에 車掌[차장]에게로 내팽개치고 “나 나릴테야요. 車[차] 세주서요” 그리고 쾌쾌히 나려올제 四角帽[사각모]도 默默[묵묵]히...
    11 KB (1,403 단어) - 2018년 4월 21일 (토) 14:33
  • 계유ᄂᆞᆫ곳나의뉵십셰일이라녯게미예 뇽누에승환ᄒᆞ와 시봉ᄒᆞ야즐기고계ᄉᆞ에도ᄯᅩᄒᆞᆫ그러ᄒᆞ니가히즐겁다니ᄅᆞᆯ너니슬 프다계묘에승환ᄒᆞ야즐기오미ᄒᆞᆫᄭᅮᆷ이되도다그오히려우흐로 댱낙을밧들고우리 황형을밧드와ᄆᆞᄋᆞᆷ에우러러의지ᄒᆞᄂᆞᆫ배 잇더니계튝에눌을위ᄒᆞ야공슌ᄒᆞ리오ᄒᆞᄂᆞᆫ회포ᄅᆞᆯ품고다만...
    763 바이트 (9,646 단어) - 2024년 2월 24일 (토) 11:17
  • 春宵苦短日高起 봄밤이 ᄀᆞ장 뎌ᄅᆞ매 ᄒᆡ 놉흔 후의 니러나니 죵ᄎᆞ군왕브조됴 從此君王不早朝 일로 조차 군왕이 일즉 됴회티 아니시도다 승환시연무한가 承歡侍宴無閑暇 즐기믈 니어 잔ᄎᆡ예 뫼셔 한가ᄒᆞᆫ 결을이 업ᄉᆞ니 츈죵츈유야젼야 春從春遊夜專夜 봄이면 봄을 조차 놀고 밤이면 밤을...
    7 KB (15,786 단어) - 2024년 4월 22일 (월) 23:22
  • 三十日癸亥。晴。宣諭軍官申析。來言犒士日期。 初一日甲子。雨而大風。曉。行望闕禮。卽發覲行。 初二日乙丑。晴而大風。不能行船。 初三日丙寅。晴。陪天只。與一行上船。回到本營。承歡終日。多幸多幸。 初四日丁卯。晴。出東軒公事。南海來。 初五日戊辰。陰。與南海話。 初六日己巳。風雨大作。興陽,順天入來。 初七日庚午。晴。早設壽宴。終日極歡。多幸多幸。...
    120 KB (14,864 단어) - 2014년 9월 15일 (월) 17:39
  • ○己巳/罷廚院直宿。 ○上御集慶堂, 受百官賀。 王世孫率百官, 先四拜, 進箋文後四拜, 陞堂侍坐, 御製頒敎文。 王若曰, 稱觴崇政, 侍宴光明, 兩日承歡, 揷花回邸而冥然, 今日重逢此辰, 强起受禮, 專在追慕, 是豈爲予? 意在繼述。 己卯奏殿, 寔爲宗國, 而卽阼五十年, 得壽八十一, 是誰賜也...
    160 KB (23,476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18
  • 入場無料(거저들임), 人氣(물망, 기풍, 명망), 人間(사람, 인생), 人夫(모군, 일군), 願(청원), 乘合自動車(두루기차), 乘換(갈아타기), 配給(태움, 벌어주기, 나눠주기), 配給所(태움집, 태움곳), 配達(분전), 配達夫(분전인), 配當(몫벼름, 깃벼름, 깃놓기)...
    154 KB (17,478 단어) - 2023년 11월 20일 (월) 15:36
  • 承旨持公事入對。 ○癸未/上詣孝昭殿, 俯伏 殿中, 口奏, 命禮堂詳聽, 又使注書, 詳記口奏曰: “臣於九歲, 自壬午奉我慈聖, 十一歲得貞聖, 共與承歡龍樓。 嗚呼! 庚子龍馭莫隨, 其惟仰依我慈聖。 吁嗟! 丁丑之春, 貞聖先歸, 慈聖寶籌已高, 每有非昔之歎。 而適於此際, 慼我慈心, 到今追思...
    247 KB (39,470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12
  • 使承旨往審景福殿, 御景賢堂月臺, 命承旨書歲暮歎曰: “歲已暮矣, 年已暮矣。 世之奉親者, 除夕元朝, 奉親而樂, 予則人世間一窮人, 龍樓承歡, 已作夢焉, 少伸微忱, 惟在展禮。 耽羅之貢, 兩果適到, 卽昔年授核, 命耽羅貢人植之者也, 今年適到, 星言夙駕, 拜殿薦果, 雖伸情禮, 豈若昔年...
    308 KB (51,534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13
  • 豈意近益衰耗, 元氣一陷, 蔘附罔效? 嗚呼哀哉! 及其入梓宮日, 見一封置者, 卽昔年御札及入闕後賜名者也, 於此可見后恒日追慕之心, 尤可悲也。 然奉長樂承歡之餘, 從容以歸拜于陟降, 后何慼焉? 予於此時, 先卜宅兆, 知陵號用虛右之制, 又何憾焉? 噫! 浮文夸大, 卽非予心, 況於此文, 其豈一字之浮飾焉...
    299 KB (52,536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12
  • 關係至重, 若是泄泄, 悔將何及? 且憶夢中承敎者, 顧宗國之重, 不覺蹶然而起, 促駕來詣。 臣敢一一條陳。 噫! 明日卽小臣親迎貞聖之日也。 追憶承歡時事, 初欲先展謁奠酌徽寧, 料表有事健元陵, 爲三軍特令停止。 今日欲奏, 所重在焉, 何敢顧三軍哉? 來詣門外, 敢記所奏。 率東宮拜見沖子, 以其三年之內...
    290 KB (50,041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13
  • 我先王陟降之靈, 臨下有赫, 其必惕然於鈇鉞之輕重, 關和之低昻矣。 我慈聖宗國一念, 愈久愈勤, 以殿下先意順志之孝, 亦將以何辭, 仰奏於三朝承歡之際乎? 臣向承嚴敎, 震懍欲死。 而又復妄發, 可見區區愚忠。 此臣所謂 ‘闡慈德所以揚聖孝也, 揚聖孝所以明先志也。’ 仍伏念明義進書之箚鄭妻論斷之文...
    517 KB (107,140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26
  • 整衣而坐, 以代躬祀, 命承宣讀一篇, 效古人三復《蓼莪》之意也。 因此興感, 逐條述懷, 肺我元良。 嗚呼! 元良, 今有長樂含飴之榮, 龍樓承歡之樂, 予雖惓惓, 豈易乎感動, 而他日亦豈無追悔? 須將《大訓》之諭, 《常訓》、《自省編》、《心鑑》等書, 莫曰其言淺近, 亦莫曰不以身敎, 潛心服膺...
    322 KB (60,512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09
  • 宗丈夫莫之先也在室爲父不肉不緜服佩古制 動尊禮訓流馥下邑聲稱彌遠湖右先輩莫不歎 賞時柳公■其偶無意復娶聞夫人自笄年通經 史行能殊異喜曰是必能善事吾母委禽焉夫人 人門尊姑年老眼昏多激惱承歡左右有順無違 舅黨諸人曰新婦不如勞不知怒然■性嚴恪根 禮博識人不可媟故諸娣閥■世族小姑家貴富 且皆年長以倍特相敬重如見大賓柳公以伉儷 之重兼道義之交談討奧秘吟咏性情胥爲知已...
    1,013 바이트 (17,418 단어) - 2023년 10월 27일 (금) 16:53
  • 其婢主幷治罪。” ○辛丑/下御製詩曰 宴開樓閣以誠懷, 敬慕丹心定不摧。 紅粉舞回香落席, 芳樽傾瀉綠流盃。 圓荷舒碧繁瑤沼, 嫩柳含烟拂玉臺。 永日承歡仙樂裏, 拜祈千歲福遐恢。 令政院賡進。 ○壬寅/傳曰: “興辦之徒, 任意低昻物價, 乘時射利。 其增價取利者, 決杖八十, 受價經年不還者, 與盜無異...
    384 KB (50,006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1:19
  • “猗歟盛哉! 今日卽明年之亞歲, 而明年卽我東方千載一有之嘉會也, 諸福畢至之昌辰也。 慈殿聖壽, 恰滿於五旬, 慈宮寶籌, 儼躋於六旬。 從古帝王承歡飾慶, 有一於此, 猶云夐越。 伏況我殿下, 受皇天之篤棐, 履熙洽之鴻運, 上奉殿宮怡愉之歡, 下貽元良燕翼之謨。 吉慶荐臻於一歲, 祥和普洽於八域。...
    500 KB (103,263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25
  • 七章賁躬, 載擧成人之彝典, 貳極晉號, 特貽翼子之弘謨。 自顧蒙養之沖齡, 敢當震邸之重位, 玆蓋伏遇主上殿下, 乾坤健順, 日月恒升。 長樂承歡, 祝萬年之壽考, 皇穹篤眷, 綿百世之本支, 遂推止慈之仁, 庸侈立儲之命。 臣敢不敬佩明訓, 莊誦德音? 海潤星輝, 縱愧四重之頌, 夙興夜寐,...
    424 KB (91,011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26
  • 是何等劇逆巨慝, 則其叔其姪之倖免應坐, 已是失刑, 而惟殿下遽然湔拂, 超秩拜官, 殆若無故者然。 當此無前之慶, 記存兩家之人, 固知出於我殿下承歡飾喜之苦心至誠, 而隄防有潰決之慮, 義理有湮晦之歎。 伏願亟收成命。 不許。 ○備邊司啓言: “前僉使金瑞貞上言: ‘楊州設防營之論, 厥惟久矣。...
    752 KB (157,697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25
  • 莫不欣欣有喜色。 考之常典參以輿誠, 遇無前之慶, 擧應行之禮, 安可已也? 伏況我慈殿慈宮, 幾日惟憂之餘, 仰想欣幸, 愉悅當復如何? 以聖上承歡養志之孝, 豈不有以俯循群情, 亟行縟儀, 以答天休, 以順慈意也哉? 伏乞亟降兪音, 令該曹涓吉擧行。 批曰: “不存旡妄之戒, 致煩惟疾之慮, 予方自訟之不暇。...
    768 KB (166,090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25
  • 二十一日還渡江。 ○勑書: 崇慶慈宣康惠敦和裕壽純禧恭懿安祺寧豫皇太后誥。 曰予以薄德, 祗膺昊蒼眷佑, 列聖篤祥, 誕育帝躬, 丕紹鴻緖。 今皇帝性秉仁孝, 承歡養志, 克敬克誠, 視膳問安, 晨夕靡間。 每當巡幸, 所至必掖輦同行, 親見億兆, 呼嵩尊親, 幷篤合萬國歡。 以天下養, 信可謂之兼備矣。 且木蘭秋獮...
    476 KB (95,475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22
  • 내지 말고』 뻐드렁니가 재호의 손을 가로막으면서 앞에 서있는 승객 들을 창피한듯이 둘러보았다. 전차가 종점에 닿자 두 사람은 뻐쓰 승환할 생각도 않고 강건 까지 걸었다. 시내에서 잔잔하던 바람도 여기에는 강바람이라, 모자를 벗겨갈듯이 분다. ××과자점, ××정으로 기생을...
    247 KB (24,623 단어) - 2016년 5월 18일 (수) 0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