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검색 결과

(이전 2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의 제기는 가운데 줄에 놓고, □의 제기는 오른쪽에, △의 제기는 왼쪽에 놓는 것이 원칙으로 되어 있다. 천향(天香)은 본시 백단향(白檀香)을 썼으나 자단향(紫檀香)으로 대용도 한다. 천화(天花)는 원래 무궁화를 쓴다. 무궁화는 동방 군자국(君子國)에 났다는 뜻에서 일명...
    27 KB (3,151 단어) - 2024년 2월 4일 (일) 23:57
  • 糝患處 治痘疹黑陷 用沉香 乳香 檀香 不拘多少 放火盆內焚之 抱兒於烟上熏之 卽起 治惡瘡 取冬瓜一枚中截之 先以一頭合瘡 候瓜熱削去再合 熱减乃已 又一方 用蒜泥作餠 瘡上灸不痛灸痛 痛者灸 不痛卽止 小兒耳後生瘡 腎疳也 地骨皮一味爲末 麁者 熱湯洗之 細者 香油調擦 兩廣雲貴 多有蟲毒 飮食後...
    13 KB (2,149 단어) - 2014년 8월 22일 (금) 23:58
  • 완성을 보았다. 이러한 풍조하에 수(隋)는 남북중국을 통일하여 581년(開皇1)에 복불(復佛)의 조칙(詔勅)을 발(發)하여 금은(金銀)·단향(壇香)·협저(夾紵)·아석제(牙石製)의 대소 10만 6580구(軀)를 새로이 만들고, 한편 10만 1000체(體)의 고불상(古佛像)을...
    32 KB (4,035 단어) - 2024년 2월 5일 (월) 00:00
  • 巴豆十斤, 犀角五本, 麻黃三十斤, 蘇木一千斤, 紫檀五十斤, 白檀香五十斤, 疎香二十三斤, 蠟燭一百丁。 禮判書申商復書曰: 專人陳慰爲感。 所獻賻儀, 謹啓收納。 仍將土宜正布一千三百六十匹、緜紬二十匹, 以表謝忱。 平滿景致書禮, 求鞍子, 仍獻土物。 銅三百斤, 硫黃五百斤, 犀角二本,...
    529 KB (72,974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49
  • 터질 듯이 붉다. 궁문 밖은 탈것과 등불의 바다다. 찢어지도록 밝은 달 아래 홍사초롱 청사초롱은 마치 땅 위에 별처럼 반짝거린다. 자단향목과 심향목으로 맨든 호화로운 가마채가 떴다. 자줏빛 붉은빛 남빛 휘장이 펄렁거린다. 혼란한 비단 실들이 흔들린다. 주렁주렁 달린 은...
    123 KB (12,991 단어) - 2014년 8월 22일 (금) 22:50
  • 用副此意。” ○戊申/上行召對。 修撰重晦曰: “人臣能不變所守, 以徇其君, 乃良臣也。 尹汲不擬申致雲於承旨, 乃盡其職, 而遽出之非宜。” 上怒, 以重晦爲偏黨而罷之。 ○己酉/楊州儒生朴致新等上書, 請以孝、肅兩廟配祭皇壇, 上召問曰: “諸侯無配天子之禮。 且壇享三帝, 而配以兩廟, 數不相適。...
    277 KB (53,450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09
  • “卿之欲致仕, 疏近十上, 而約己守法, 老猶不倦, 所請不允。” ○大司諫李義綱, 上疏乞寢潞鎭、金鍾純調用之命曰: “批旨中回嚬爲笑, 寸數亦遠之敎, 實爲觀瞻之駭惑。 聖批二句語, 竝宜反汗。” 又言: “壇享時忠良後裔之陪享之數, 減於擧案之名, 及其將撤之際, 雜遝塡門, 便若場屋。 若使京兆...
    494 KB (100,369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26
  • 製律詩以進, 賜紫燒酒、甛瓜等物。 ○乙巳/傳曰: “白檀香二十斤入內。” ○正言沈順門啓童淸禮事及臺諫、政勿相避事, 不聽。 弘文館正字李沆上疏, 訟父世仁之冤, 請放還田里, 不聽。 ○丙午/傳曰: “白檀香一百斤入內。” ○丁未/持平浩啓: “上箚已數日, 請聞發落。 且臣等聞, 國家欲築長城於平安道。...
    354 KB (61,881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1:18
  • 治伏暑煩渴引飮滑石二兩茯巔澤瀉石膏寒水石甘草各一兩白朮猪巔肉桂各五錢右爲末每二錢薑湯調下《正傳》 ⼒濯熱散 治暑熱煩渴及囍亂後渴最妙白礬五倍子烏梅肉甘草各一兩右爲末入白恪四兩拌勻每二錢新汲水調下《正傳》○一名龍鬚散《丹心》 ⼒醍筺湯 解暑熱止煩渴烏梅肉嶽末一斤草果一兩縮砂白檀香各五錢煉蜜五斤右細末入蜜微沸攪勻磁器盛冷水調服《局方》...
    925 KB (181,178 단어) - 2017년 6월 21일 (수) 13:54
  • 從成俊議。 ○己巳/傳曰: “今後(忌晨)〔忌辰〕齋行香使, 勿遣朝官, 以秩高內官代遣。 且禮曹郞廳及一應進排各司官員亦勿遣。” ○庚午/命入白檀香二十斤。 ○命遞大司憲閔暉、持平李荇。 ○辛未/傳曰: “明日曲宴時, 妓工賜與布帛, 令尙衣院, 分三等書啓。 令軍士一百名, 入後苑伐草, 繕工監造鎌五百柄...
    434 KB (73,079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1:18
  • 庶將竭力於桑楡; 報國心長, 尤當結草於泉壤。 俔患疾, 賜醫藥、廚饌, 故上箋謝恩。 ○傳曰: “白檀香三十斤、沈香三斤入內。” ○持平李孝敦、正言玉崐啓: “洪伯慶無操行人也。 置諸一品之列, 已爲濫矣, 況委以六之重任乎? 雖曰爲大妃特授, 然如賞賜則或施之可矣, 官爵公器, 豈可不論賢否, 而濫加之...
    593 KB (108,670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1:18
  • ⼗藿香 性微溫味辛無毒療風水毒腫去惡氣止囍亂治脾胃吐逆爲最要之藥《本草》○入手足太陰經止嘔吐發散風寒爲上《湯液》○巔藿虛古人乃以合熏香也《本草》○入藥水洗去土梗用 葉《入門》 ⼗白檀香 性溫味辛無毒消熱腫治腎氣腹痛又主心腹痛囍亂中惡鬼氣殺盤《本草》○樹如檀有黃白紫三種入手太陰經足少陰經通行陽明經引胃...
    379 KB (48,699 단어) - 2019년 3월 17일 (일) 16:56
  • 以守溫所製歌詩, 被之管絃, 調閱數月, 而後用之。 上之留意佛事, 守溫兄弟贊之也。 ○日本薩摩州藤原熙久遣人獻丹木一千斤、鑞鐵一百斤、胡椒九斤、束香一百斤、白檀香五十斤、白蛤十箇、藤五百箇、烏梅木一千斤、硫黃二百五十斤、象牙十一斤, 回賜正布一千一百二十四匹。 ○議政府據禮呈啓: “凡士大夫如父在爲母期而行心喪者...
    377 KB (62,710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56
  • 且請重字印, 仍獻土物硫黃二千斤、檀香一百斤、龍腦五兩、黃(岑)〔芩〕五斤、陳皮一十斤、檳榔三斤、赤銅五十斤、大刀五腰, 回賜《大般若經》一部、圖書一顆、正布八十三匹。 ○左衛門大郞使其子朝見, 仍獻硫黃一千斤、丹木五百斤、犀角八介、烏梅木五百斤、甘草十斤、木香二斤、白檀香二斤、陳皮三十斤、朱紅十斤、沈香二斤、沙鉢百介。...
    510 KB (71,221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50
  • 而不擇煩者也。 予有繡衣之臣, 田野之荒闢, 自可按問, 而賞罰之其敢忽諸? 齋曉耿耿, 駐蹕宣諭。 予旣不以例言, 須亦勿以例聽。” ○壬子/敎曰: “我國之壇享, 卽古之方丘也。 陶瓠鉶羹, 掃地將事, 而明靈洋洋, 如水之在, 州、府、郡、縣, 莫不有社稷之責。 曾在先朝, 以外邑壇社之欠潔, 屢下飭敎,...
    430 KB (87,326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24
  • 賜王珊瑚間茄藍香帽珠一串、紵絲三十匹、熟絹三十匹、象牙二隻、犀角二箇、《通鑑綱目》、《漢準》、《四書衍義》、《大學衍義》各一部、片腦ㆍ沈香ㆍ束香ㆍ檀香ㆍ蘇合油ㆍ白花蛇ㆍ朱砂ㆍ麝香ㆍ附子ㆍ金櫻子ㆍ肉蓯蓉ㆍ巴戟ㆍ當歸ㆍ乳香ㆍ沒藥ㆍ藿香ㆍ零陵香ㆍ甘松香等藥材十八味。 帝喜我進銅佛, 故有是賜。 ○東寧衛千戶金聲、百戶李賓...
    279 KB (41,047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40
  • 壇享祀, 不可不揭載矣。” 容善曰: “近年《璿源譜略》, 可以揭載者, 全不揭載, 果爲欠典。 竝與全州、三陟事實, 一統揭載, 恐合事體矣。” 南關王廟重建時監董堂郞及還安時各差備、奠酌禮時獻官以下, 施賞有差。 秘書院卿閔泳柱、侍講院詹事李載現、軍部大臣署理協辦朱錫冕、參領具永、正尉李悳淳·李恒魯、副尉韓性鎭...
    178 KB (26,792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28
  • 伐軍鼓, 救蝕移時。 ○命金致仁給牒敍用。 ○辛卯/上還宮。 ○命具庠給牒敍用, 申益彬、李最中、鄭存謙亦命敍用。 ○壬辰/上御崇政殿東月臺, 肄大報壇享儀。 ○命濟州牧使梁世絢特施刊版之典。 ○癸巳/上御集慶堂, 引見大臣備堂。 大司憲任希敎等申前啓, 不允。 又啓曰: “具普萬縱子通逆種, 負犯難赦...
    232 KB (36,208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17
  • ○己酉/禮判書黃昇源啓言: “今此進香使到北京, 禮部呈咨文及進香時, 當着淺淡服, 入城後路上往來時, 黑團領去胸褙黑角帶似宜。 若以過百日而彼皆從吉, 當用常時所着黑團領矣。” 從之。 ○辛亥/遞吏參判李承、參議李翊模, 以李益運、尹行元代之。 ○敎曰: “今夜何夜? 壇享將行誓戒, 念舊之外...
    517 KB (107,140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26
  • 還齋所敎曰: “今年, 卽皇朝開創之年也。 歲首望位之禮, 不足以少伸風泉之誠。 今夜壇享, 不得躬行, 豈可坐齋於便殿? 午後出齋北苑, 奉紙牓時, 行望位禮於冽泉門外, 還至齋所, 俟祭畢還次, 以此分付。” ○命壇享時, 皇朝人子孫、忠臣子孫參班人, 行禮於洌泉門內。 舊例, 參班人每於拱北門外,...
    391 KB (77,865 단어) - 2022년 12월 29일 (목) 09:41
(이전 2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