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검색 결과

(이전 2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천년의 불교성지이다.옥룡이라는 지명은 도선의 도호인 옥룡지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한다. 옥룡사는 신라 말에 조그만 암자였던 것을 도선국사가 864년에 중수하였으며, 수백 명의 사문들이 그의 법문을 듣고자 몰려들어 옥룡사파란 지파가 형성되자 몰려드는 인원을...
    50 KB (5,873 단어) - 2024년 2월 5일 (월) 00:00
  • 고마나루[熊津]4864) 로 옮겨 도읍하였고, 고려 초에 양주(楊州)로 고쳤다. 숙종(肅宗) 때 술사(術士) 사의령(司儀令) 김위제(金謂磾)가 옥룡 선사(玉龍禪師)의 《도선밀기(道詵密記)》를 증거로 하여 아뢰기를, “양주(楊州)에 목멱양(木覓壤)이 있는데, 가히 도읍을 세울 만합니다.”...
    17 KB (2,464 단어) - 2023년 5월 20일 (토) 02:22
  • 무법법(無法法)을 배워와서 효공왕으로부터 요공국사(了空國師)의 시호를 받았고, 굴속과 움막에서 수도생활로 일관하다가 희양(曦陽) 백계산 옥룡사(玉龍寺)에서 입적하였다. 당시 중국에서 발달한 음양도참사상이나 풍수지리설을 토대로 하여 <도선비기(道詵秘記)>를 지었으며 산천(山川)·도성(都城)·왕조(王朝)의...
    16 KB (1,896 단어) - 2024년 2월 5일 (월) 00:00
  • 각지를 두루 돌아다니다가 희양현(曦陽縣) 백계산(白雞山) 옥룡사(玉龍寺) 【절터는 전라남도 광양군 옥룡면에 있다.】 의 한적하고 아름다운 경치를 좋아하여, 이곳에서 남은 생을 마치기로 했다. 때문에 옥룡자(玉龍子)라고 부른다. 헌강왕(憲康王) 【제49대】 은 그를 불러...
    16 KB (1,920 단어) - 2023년 4월 17일 (월) 18:53
  • 효공왕으로부터 요공 국사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숙종 시당기때 왕사에 추증되었다. 그는 굴 속이나 움막 속에서 수도 생활을 하다가 백계산 옥룡사에서 일생을 마쳤다. 죽을 때 제자들에게 “인연으로 와서 인연이 다하여 떠나는 것이니 슬퍼하지 말라”는 말을 남겼다 한다. 인종 때...
    10 KB (1,021 단어) - 2018년 5월 13일 (일) 16:24
  • 여거사결맥정요(黎居士決脈精要) 연수서(延壽書) 연하성효방(烟霞聖效方) 영류검방(永類鈐方) 영추(靈樞) 오씨집험방(吳氏集驗方) 옥기미의(玉機微義) 옥룡가(玉龍가) 옥함경(玉函經) 왕숙화맥결(王叔和脈訣) 왕씨맥경(王氏脈經) 왕씨이간방(王氏易簡方) 왕씨집험방(王氏集驗方) 왕악산서(王岳産書)...
    4 KB (666 단어) - 2023년 5월 20일 (토) 01:35
  • 입사히 ᄯᅳᆺ겨지고 남은 고란의 조으는 듯 ᄭᅮᆷᄭᅮ는 듯한 푸른 입파리는 좀처럼 내 머리에서 살어지지 안엇든 것이다. 금년 여름 경주 옥룡암에서 도라 와서는 그만 절로 가지 안코 우이동 가는 중로에 소유리라고 하는 동리가 잇는데 그곳에 나의 위택이 우거하게 되야 새로 지은...
    8 KB (902 단어) - 2023년 3월 12일 (일) 20:55
  • 한다. 백운란·백운배·백운쇠물푸레·백운기름나무·나도승마·털노박덩굴·허어리 등 희귀식물을 품고 있다. 玉龍寺址 사적 제407호. 옥룡사지는 옥룡면 추산리 소재. 옥룡사지는 통일신라 말의 뛰어난 고승이자 한국풍수지리의 대가인 선각국사 도선이 35년간 머무르면서 수백 명의...
    260 KB (28,829 단어) - 2019년 3월 10일 (일) 11:50
  • 굴을 파고 불도를 닦고, 태백산 앞에 움막을 치고 여름을 보내면서 수도생활을 하다가 드디어 희양현(曦陽縣) 백계산(白鷄山)의 욕룡사(玉龍寺)에 자리잡고 거기서 생을 마칠 뜻으로 말없이 수양하였다.헌강왕이 그의 명성을 듣고 사람을 보내어 궁중으로 모셔가니 도선은 왕에게 여러...
    21 KB (2,540 단어) - 2024년 2월 5일 (월) 00:01
  • 일대에 흩어져 있는 백제의 고분군이다. 송산리(宋山里) 1∼6호분(사적 13호)·시목동 고분(枾木洞古墳)을 비롯하여 금성동(錦城洞)·옥룡동(玉龍洞)·금학동(金鶴洞) 등의 고분이 대표적이다. 석실무덤이 주류를 이루는데, 소형에서부터 한 변의 길이가 3m를 넘는 대형 등 크기와...
    46 KB (5,352 단어) - 2024년 2월 5일 (월) 00:00
  • 홍공단(紅貢緞) 한 조각에 금으로 글씨를 썼으되 전면에는, '옥녀탄금형 십대장상에 백자천손지지 함씨 입장.' 후면에는, '모년 모월 모일 옥룡자소점(玉龍子所點).' 이라 하였거늘 그날 회장(會葬)하러 온 사람이라, 구경하러 온 사람이라, 역꾼과 집안 하인 병하여 근 백 명이 한마디씩이라도...
    152 KB (16,866 단어) - 2017년 9월 9일 (토) 03:43
  • 憲司劾之。 ○收大護軍周玉龍職牒, 充水軍。 初, 玉龍與前將軍宋斯敏爭奴婢不得, 訴於憲府, 又不得, 擊鼓申聞。 下承政院究之, 直斯敏。 憲司請玉龍誣告之罪, 命收職牒, 流于遐方。 大司憲李至等又請曰: “臣等非則罪臣等, 臣等是則加罪玉龍。” 上曰: “玉龍實有罪矣, 曾有軍功, 不忍盡法。”...
    268 KB (38,704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39
  • 龍仁云云處亦然。 外此獻陵局內梨樹洞, 厚陵局內二處, 康陵白虎邊, 加平諸處, 無一合意處。 唯水原邑內封標三處, 官家後一處, 多前人明的之證, 況玉龍子所謂盤龍弄珠之形局。 且年運、山運、本命運, 無不沕合, 予所謂天意者此也。 國中陵園封標中, 三處最吉之說, 自古有之, 一則弘濟洞, 卽今寧陵是也...
    449 KB (89,944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24
  • ᄉᆞ랑홈미 만흐믈 ᄉᆡᆼ각ᄒᆞ놋다 총총만ᄉᆞ셜브진 匆匆萬事說不盡 총총ᄒᆞᆫ 만ᄉᆞᄅᆞᆯ 니ᄅᆞ기ᄅᆞᆯ 다 못ᄒᆞ야셔 옥뇽이가슈희화 玉龍已駕隨羲和 옥뇽이 임의 멍에 메워 가매 조초ᄒᆡ 놋ᄂᆞᆫᄯᅩ다 하변녕관최효발 河邊靈官催曉發 믈ᄀᆞ 녕관이 새볘 ᄠᅥ나믈 ᄌᆡ촉ᄒᆞ니 녕엄블긍경니별...
    7 KB (15,786 단어) - 2024년 4월 22일 (월) 23:22
  • 也高麗官制衛尉寺判事秩正三品卿從三品丞從六品注簿從七品同正非實職而品秩同於正職者也磾音低上上聲誌職吏切神誌檀君時人世號神誌仙人詵䟽臻切道詵三國末術僧玉龍禪師也入唐傳一行禪師相地之法而還肅宗元年謂磾壉道詵密記上言三角山南木覓北平建立都城以時巡住此實開社稷興衰肅宗從之始創南京營宮室越四年幸南京未幾復還松...
    2 KB (17,579 단어) - 2023년 12월 8일 (금) 02:03
  • 而至辛丑, 一種不逞之徒, 遂甘自陷於亂逆, 孰知黨論之弊至此之甚哉? 亦可惡而可誡也。】 ○問丁極星, 極星供: “臣初不解雜術, 今見冊面, 有玉龍字, 知其爲雜術冊, 而臣初無隨往花開之事矣。” 累加刑訊, 終不遲晩, 命御營廳梟示。 ○敎曰: “頃者逆志之後, 下諭道臣, 其後又有逮捕, 瞻彼湖南...
    407 KB (78,376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12
  • 웅진(熊津)으로 도읍을 옮겼고, 고려 초에 양주(楊州)로 고쳤다. 숙종(肅宗) 때 술사(術士) 사의령(司儀令) 김위제(金謂磾)가 옥룡선사(玉龍禪師)의 《도선밀기(道詵密記)》에 근거하여 아뢰기를, “양주(楊州)에 목멱양(木覓壤)이 있는데, 성을 세울 만합니다.” 하였다....
    26 KB (5,122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58
  • 佛敎는 上下를 通하여 널리 行하였으며 特히 禪宗이 流行되어 法朗 慧照 等 名僧이 적지 아니하였다. 【風水說】 風水地理說은 僧 道詵(玉龍子)이 唐의 一行의 說을 敷衍하여 唱道한 것이니 그의 影響을 크게 後世에까지 미쳤다. (다)『社會』 末期에 이르러 政治的 統制가 허수하여지고...
    176 KB (24,356 단어) - 2023년 8월 19일 (토) 23:17
  • 學勤好問文, 一德不懈簡。 有子三: 曰孟聞、仲聞、季聞。 ○庚申/命還安宗慶、閔審言等三十人職牒。 ○兵曹與司僕寺提調同議啓: “慶尙道梁山郡ㆍ伽倻津ㆍ玉龍淵、安康縣ㆍ兄弟浦ㆍ溫之淵、全羅道羅州ㆍ懸島等處, 諺傳有龍之處。 請令其道監司, 量築牧場, 擇諸牧場純白雌馬, 入放試驗。” 從之。 ○禮曹啓文昭殿(忌晨)〔忌辰〕祭儀注:...
    838 KB (140,209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52
  • 王建牡丹詩云粉光深紫膩。肉色退紅嬌。王貞白倡樓詩云龍腦香調水。敎人梁退紅。按退紅。若今之粉紅也。 王建溫泉宮詩曰。宮前內裏湯各別。每箇白玉芙蓉開。按明皇在華淸。安祿山獻玉龍鳧鴈石蓮花。命陳於湯中。其蓮花石至今在云。又曰武皇得仙王母去。山鷄晝鳴宮中樹。蓋以武皇比明皇。王母比貴妃也。大抵唐詩人多以明皇譬漢武。如杜詩武皇開邊意未已是也。...
    94 KB (23,374 단어) - 2018년 1월 21일 (일) 16:43
(이전 2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