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검색 결과

(이전 2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宮內省令第十六號, 判任官定員發表。 【屬九十人, 典祀補二十五人, 典醫補七人, 技手九人】 第十七號, ᄭᅦ 分屬ᄒᆞᄂᆞᆮ 屬은 二十人, 典醫補ᄂᆞᆮ 二人, 世子ᄭᅦ 分屬ᄒᆞᄂᆞᆮ 屬은 二人, 典醫補ᄂᆞᆮ 一人, 公族에게 分屬ᄒᆞᄂᆞᆮ 屬은 各五人으로ᄒᆞᆷ이라。...
    36 KB (7,118 단어) - 2023년 5월 20일 (토) 05:16
  • 혼용 표기 在朝鮮美國陸軍司令部軍政廳 法令 第二十六號 第1條 一九四五年十月二十日附 一般告示 第二號 第四項은 玆에 此를 廢止함 第2條 의 名稱을 玆에 變更하여 舊王宮이라 稱함 第3條 本令은 官報에 頒布 卽時 施行함 一九四五年十一月八日 在朝鮮美國陸軍司令官의 指令에 依하여...
    1 KB (242 단어) - 2014년 8월 22일 (금) 05:47
  • 해금의 명인. 구명(舊名)은 삼석(三石), 본관은 진주. 서울 출생. 1867년 장악원(掌樂院) 악공으로 임명되고, 1913년 이왕아악부(雅樂部) 아악수에 임명되었다. 1895년, 미국 시카고 박람회에 다녀왔다. 해금과 아쟁을 하였고, 해금은 매우 잘했는데, 특히 여민락에...
    20 KB (2,349 단어) - 2024년 2월월 5일 (월) 00:00
  • 신파극(新派劇)에 귀를 기울였다. 게다가 일제의 한국문화 말살정책으로 한국음악은 더욱 위축되었다. 이러한 어려운 시기에 한국 전통음악은 이왕() 아악부(雅樂部)·원각사(圓覺社)와 협률사(協律社)에 이은 조선성악연구회(朝鮮聲樂硏究會)·조양구락부(調陽俱樂部)에 이은 조선정악원(朝鮮正樂院)·기타...
    30 KB (3,496 단어) - 2024년 2월월 5일 (월) 00:01
  • 29일】 메이지 천황은 전(前) 한국 황제 및 그 일족을 매우 후하게 대접하여, 전 황제를 이왕() 전하, 태황제(太皇帝)를 이 태왕() 전하, 황태자를 세자(世子) 전하라고 부르도록 하고, 그 외에 근친(近親)의 여러 사람들도 모두 황족의 대우를 받도록 하였다...
    28 KB (3,400 단어) - 2023년 4월월 23일 (일) 02:10
  • 계승·발전시킨 공적은 높이 평가되고 있다. 金千興(1909- ) 궁중무용·궁중아악가. 서울 출신. 14세 때인 1923년 이왕 아악부 아악생양성소(雅樂部雅樂生養成所)를 제2기생으로 졸업, 현재까지 아악과 궁중무(宮中舞)의 전승·보급에 몸바쳐 왔다. 그는 '탈춤'을 체계화시키고...
    35 KB (3,685 단어) - 2024년 2월월 5일 (월) 00:01
  • 악대는 독일인 에케르트(F. Eckert, 1852(독)-1916(한))가 지도했다. 1910년 한일합방으로 이 군악대를 이왕양악대(洋樂隊)로 개칭, 다시 서울양악대로 변모했다. 1912년경부터 서울에 활동사진 상설관(영화 상영관)이 생기면서부터 대중음악(극장음악)이...
    23 KB (2,525 단어) - 2024년 2월월 5일 (월) 00:00
  • 미술교육기관. 이왕()의 뒷받침을 얻어 설립되었으며 수업 연한은 4년제이다. 주로 전통적인 동양화 후진 양성에 목적을 두었으며 1919년 이후에 활약한 오일영(吳一英), 김은호, 이상범, 노수현, 최우석(崔禹錫) 등을 배출한 곳이기도 하다. 이완용(完用) 등이 주축이...
    13 KB (1,621 단어) - 2024년 2월월 5일 (월) 00:00
  • 군악대는 이왕() 양악대로 개칭되면서 얼마간 존속되었다. 그 후 일인에게서 받는 왕실 예산의 삭감에 따라 수난을 겪기 시작한 군악대는 왕가의 보조비만으로는 유지할 길이 없어 학교운동회나 극장으로 돈벌이를 하다가 1915년에 이르러서는 도저히 이왕의 조력으로는...
    24 KB (2,527 단어) - 2024년 2월월 4일 (일) 23:59
  • 贈判閣偰眉壽曰: “書法與羲之無異也。” ○太上營宮室于崇仁門內。 太上使判繕工監事盧嚴, 求軍人及材木於上曰: “欲營宮室于崇仁門內。” 上進軍人百名、材木百株。 太上曰: “此宮, 後當爲寺, 卽如前朝太祖廣明寺之例矣。” ○賜藝文館擔鞍馬。 擔爲謝恩使, 閔無疾書狀官, 與打角夫乙生還啓: “帝遣鴻臚行人潘文奎...
    268 KB (38,704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39
  • 쫓겨가는 원·명 교체기에 즉위한 공민(恭愍)의 개혁으로 대외적으로는 반원정치(反元政治), 대내적으로는 권문세가의 억압이라는 두 가지 정책이 채택되었다. 공민은 후일 신돈(辛旽)을 등용하여 국정을 관할하게 하였다. 신돈은 이공수(公遂) 등 권문 출신을 축출하고, 문벌이...
    27 KB (3,127 단어) - 2024년 2월월 4일 (일) 23:58
  • 태종실록 1년 ○辛酉朔/上朝太上殿, 又至上殿行賀禮。 太上適幸神巖寺, 故但進綺絹表裏而還。 ○上幸康安殿基, 冕服率群臣賀帝正, 受朝宴群臣。 賀帝正, 年例也。 以壽昌宮災, 故設宴於康安殿基。 上將軍膺在班失次, 憲司劾之。 上聞之曰: “此必閔無咎嗾憲司爲之也。” 初膺納交無咎、無疾...
    239 KB (36,389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39
  • 封楚王第五子孟煒爲崇陽, 第六子孟爚爲通山, 第七子孟燦爲通城, 第八子孟炤爲竟陵, 第九子孟爟爲岳陽。 蜀第二子悅耀爲華陽, 第三子悅燇爲崇寧, 第四子悅炘爲崇慶, 第五子悅爲保寧。 代長子遜煓爲代世子, 第二子遜煓爲廣寧。 遼第二子貴烚爲長陽, 第三子貴爕爲遠安, 第四子貴煖爲興山...
    224 KB (34,179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39
  • ○壬戌/徵馬于超資受者有差, 收其牒。 先是, 添設無定數, 多有冒濫者, 故都評議使司請令各道都觀察使, 考覈徵之。 계급을 뛰어서 직첩을 받은 사람들에게 말[馬]을 차등 있게 징발하고 그 직첩을 거두어 들이었다. 전에 〈명예으로 가외로 설치한〉 첨설(添設)의 정한 수가...
    397 KB (52,570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31
  • 不施罪戮, 反加矜護, 至使察, 臣非木石, 寧不竦然感懼? 第公論可畏, 諫難忝, 何敢强顔冒出, 重辱名器乎? 請命罷斥臣。” 司諫惺、獻納昌後、正言挺元啓曰: “諫官之, 糾劾百僚, 而主一時公論, 決非負罪之臣, 所可冒居。 聖明優容, 敎以察, 臣等感激隕越, 措身無地。...
    1.21 MB (228,255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1:38
  • 也。 박수기(朴竪基)에게 일을 보라고 명하였으니, 대사헌 조박(趙璞)이 상언(上言)하여, 낭사(郞舍)가 극간(極諫)하는 것은 그 직책이라고 하였기 때문이었다. ○上率百官, 朝太上殿設享, 竟夕乃罷。 上進退太上前如平時, 太上待主上, 亦如之。 歡甚, 太上使都承旨文和...
    362 KB (48,882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35
  • 世孫隨駕, 亞獻禮, 令該曹依例擧行。 ○以在簡爲獻納、金漢耆爲校理、澤遂爲副修撰、柳善養爲輔德、趙榮進爲兵曹參判。 ○命南玄老ㆍ致中以芸館施行, 因不卽就也。 特除金尙集修撰, 有其滯可惜之敎。 ○庚子/命以初九日, 行世孫嬪冠禮。 ○內局入診。 敎曰: “昨已下敎, 今日世孫懇請...
    188 KB (33,187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14
  • ○五年【大明萬曆四十一年。】癸丑正月初一日朔己未在貞陵洞行宮。 ○傳曰: “上年予病一朔而愈。 侍藥之臣, 宜有賞格, 藥房都提調以下, 賜馬及弓子、木綿, 有差。 ○禮曹啓: “請以三月十二日, 移御昌德宮。” 曰: “法宮永移, 不可不極擇吉日。 各殿皆協日月, 更爲另擇以啓。” 【嘗密問地官懿信曰: “昌德宮再經大事...
    867 KB (154,584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1:40
  • 而今移授工曹佐郞, 是必厭其詞訟, 求爲蕪也。 鄭琦授司僕主簿纔五朔, 陞授五品。 監役官非東班顯例也, 今文守驟陞參。 韓致良曾任淮陽, 身病呈辭, 還授外任例也, 而今授京判官。 盧熙善以黃州判官見貶, 而未滿二年, 授五品。 金守末、崔得基、公麟皆庸劣無能, 不合守令。 安州路傍巨邑...
    288 KB (52,905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1:17
  • 광해군일기 6년 ○甲寅六年【大明萬曆四十二年】正月初一日朔甲寅太白晝見。 ○(世子及百官, 親行望闕禮於慶運宮庭。) ○(未時, 太白見於午地, 日有右珥; 申時, 日有兩珥。) ○甲寅正月初三日丙辰司憲府啓曰: “設官分, 各有所司, 文選責東銓, 武職責西銓, 乃是祖宗朝官人定法。 惟兩界監兵使...
    654 KB (117,288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1:41
(이전 2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