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검색 결과

(이전 2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없이 현주지에서 약간의 토지를 가졌어도 주호(主戶), 즉 담세호(擔稅戶)로 했다. 이후 객호란 무산무세(無産無稅) 내지 한 사람 몫의 담세 능력이 없는 자를 지칭하게 되었다. 그러나 호산(戶産)을 가지면 수년의 유예기간 후 주호에 편입된다. 호의 재산은 향촌에서는 오로지...
    11 KB (1,274 단어) - 2024년 2월월 4일 (일) 23:59
  • 33)에 전국을 13도로 나눌 때 경상도를 경상남도와 경상북도로 나누었다. 濟州道 제주도는 시대에 따라 도이(島夷)·동영주(東瀛州)·주호(州互)·탐모라(耽牟羅)·섭라(涉羅)·탁라(?羅)·탐라(耽羅)·제주 등으로 불려왔다. 3성(三姓:高·梁·夫)의 개벽설화(開闢說話)에 따르면...
    8 KB (1,051 단어) - 2018년 5월 14일 (월) 02:50
  • 혀 꼬부라진 불호령 그의 술버릇을 잘 아는 유선생과 술집 주인은 얼른 물러서 멀숙해 섰다. × × × 시인 마어풍(馬御風)은 큰 주호(酒豪) 이다. 나이가 삼십 이전에는 동이술도 사양치 않았다지마는 요사이는 몇 잔을 안 마시어서 곧 취해버린다. 보통 술이 안 취해 있을...
    18 KB (1,908 단어) - 2023년 11월 27일 (월) 00:35
  • 간통도 못되는 船室[선실] 안으로 왔다갔다 하기로 새워 버렸다. 배는 大連[대련]을 잠깐 들러서 營口[영구]에 왔다. 그런데 岳州號[악주호]는 무슨 일인지 營口[영구]에 머물러 버리고 우리 一行[일행]을 營口市街[영구시가]에 내어 던지었다. 우리는 市中 [시중]의 어떤 中國...
    10 KB (1,522 단어) - 2014년 8월 22일 (금) 22:43
  •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외교통상부령 제7호, 1998.12.31.> 이 규칙은 1999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다만, 주호놀루루대한민국총영사관하갓냐출장소에 관한 개정규정은 1999년 3월 1일부터 시행하고, 주스페인대한민국대사관라스팔마스분관에 관한 개정규정은...
    14 KB (1,220 단어) - 2023년 6월 10일 (토) 02:28
  • 금주·단연(斷煙)·폐창(廢娼)에 관한 논문을 연속 게재하여 절제운동을 크게 성원하였으며, 구세군에서는 1924년부터 기독신보에 위탁하여 매년 전국 금주운동일에 금주호(禁酒號)를 출간하여 색다른 절제운동을 일으켰다. 그런데 개화기에 있어서의 이러한 금주·금연운동은 성서의 교리적인 견해나 선교사들의 청교도적인...
    33 KB (3,375 단어) - 2024년 2월월 5일 (월) 00:00
  • 영천시 고경면 호국로 나. 국립임실호국원: 전라북도 임실군 강진면 호국로 다. 국립이천호국원: 경기도 이천시 설성면 노성로 라. 국립제주호국원: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노형동) 마. 국립산청호국원: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목화로 [전문개정 2008.10.20.]...
    54 KB (5,447 단어) - 2023년 6월 10일 (토) 02:42
  • 대답하였다. 그러면서 더 자세한 말을 묻기도 싫고, 그렇다고 그대로 갈 수도 없어서, 잠시 추녀 밑에서 빗발을 내려다보며 서성거리는데, "주호야―---" 하고 어린것의 이름을 부르며 비틀거리고 들어서는 사람! 그는 앞을 가누지 못하도록 술이 취한 이 집의 주인이었다. 썩은 생선의...
    49 KB (5,371 단어) - 2014년 9월 14일 (일) 15:24
  • 왕망시대(王莽時代)에 주조한 것인데 이곳에서 출토된 것은 흥미있는 일이라고 보고 있다. 제주도는 고대의 탐라국(耽羅國)으로 『삼국지』 위지(衛誌)에는 주호(州胡)라 하여 그곳 토착인이 배를 타고 중한(中韓)에 왕래하며 무역을 행하였다고 씌여 있다.중한은 낙랑·대방에 접근한 진한·마한을 지적한...
    50 KB (5,941 단어) - 2024년 2월월 4일 (일) 23:56
  • 今雖刷還, 而田廬悉爲他人所有, 嚴刑酷罰, 比舊增加, 笞杖之大, 幾於管竹, 而吏民無完肌。 些少倉粟, 藩胡幷賴。 優乎主戶, 則客戶多飢死; 優乎客戶, 則主戶便飢。 納糴無由, 官秉空籍, 無以繼賑。 草實艱食之狀, 遙駭聽聞。 遷徙之初, 皆懷必死之志, 則强驅赤子無罪者, 俾就必死之地...
    98 KB (22,052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1:26
  • 맹안(海通猛安) 주호귀동(朱胡貴洞)·독로올 맹안(禿魯兀猛安) 협온불화(夾溫不花)·간합 맹안(幹合猛安) 해탄설렬(奚灘薛列)·올아홀리 맹안(兀兒忽里猛安) 협온적올리(夾溫赤兀里)·아사 맹안(阿沙猛安) 주호인답홀(朱胡引答忽)·인출활실 맹안(紉出闊失猛安) 주호완자(朱胡完者),...
    296 KB (38,470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31
  • 특수한 産物[산물]로는 梨子[이자]만한 大栗[대율]과 尾長[미장] 五尺餘[오척여] 되는 細尾鷄[세미계]가 聞[문]하 며, 또 州胡[주호]라 稱[칭]하는 漂來[표내] 異人[이인]이 西海中[서해중] 大島上[대도상]에 居[거]하니, 人形[인형]이 적이 短小[단소]하고 言語[언...
    192 KB (33,117 단어) - 2023년 5월 19일 (금) 20:29
  • 나는데 크기가 배와 같고, 또 꼬리가 가는 닭이 나는데 그 꼬리의 길이가 다해서 5척 남짓이다. 남자들은 때때로 문신이 있다. 또한 주호(州胡)가 있는데 마한의 서쪽 바다 가운데의 큰 섬으로, 그 사람들이 조금 키가 작고 언어는 한(韓)과 같지 않으며 모두 머리를 깎은...
    121 KB (17,760 단어) - 2022년 12월 30일 (금) 23:24
  • 식허고 심동 즉 만병이 생하오며 신경 곧 상하오니 무슨 병이 아니날까 오로칠상(惡露七傷)이 급하오니 보중탕(補中湯)을 잡수시오. 숙지황 주호 닷돈이요 산사육(山査肉) 천문동(天門冬) 세신(細辛)을 거토(去土) 육종용택사(肉蓯蓉澤瀉) 앵속화 각 한돈 감초 칠푼 수일승 전반 연용(水一升煎半連用)...
    61 KB (6,739 단어) - 2020년 8월 10일 (월) 00:51
  • 사람을 엇난 자 난 흥하고 일흔 자난 망이라 하여쓰니 컨ᄃᆡᆫ 황상은 인명을 ᄒᆡ치말고 인심을 션도하야 ᄃᆡ사을 도모하옵소셔 하니 무진이 쳔죽의 말을 올히 여겨 진을 평도 ᄯᅡ의 웅거ᄒᆞ고 긔주 쳥주하동을 합 하야 주호를 곤쳐 명나주라 하고 분부 왈 남쳔 ᄯᅡᆼ은 신혜주라...
    902 바이트 (15,613 단어) - 2022년 1월월 17일 (월) 15:40
  • 一皆禁斷; 取民菓實, 不給其直者, 依《經濟六典》, 亦行禁斷; 人家代田外山野所種菓實, 十分稅一, 令戶主自納, 勿行監封充數, 以擾主戶; 田地竝作, 除鰥寡孤獨無子息無奴婢三四結以下作者外, 一行禁斷; 漁梁專利, 禁民入手者, 痛行禁斷; 令民自願者, 皆獲漁利, 十分稅一, 皆報都觀察使...
    279 KB (41,047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40
  • 令各坊色掌捕告, 鄕貫根脚及衣食從來, 徐徐細推, 則眞犯可得, 而賊徒自縮矣。 一, 從他處來接, 不爲農工興利等事, 留京遊食之徒, 漢城府令主戶及隣里人告官, 問其來歷, 還本定役, 隱匿不告者, 依律論罪。 一, 竊盜三犯刺字, 遇赦幸免者, 推考畿外黜送, 令所止官定役考察, 毋令出入。...
    542 KB (74,848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0:49
  • 순천만의 하구에는 간석지가 분포되어 있어 그 곳을 방조제로 막아 많은 간척지를 조성했고, 남쪽은 다도해와 닿아 있다. 한편 보성강에 승주호, 이사천에 승평호와 같은 다목적댐에 의한 호수가 있다. 남해안 기후구에 속하는 곳으로 온화하고 강수량이 많으며, 해양성 기후의 특징이...
    260 KB (28,829 단어) - 2019년 3월월 10일 (일) 11:50
  • 쓰다듬는 시늉을 하는 데서 조금 진보된 놀음밖에는 아니 되는 것이다. 『들게』 창선은 태호를 보며 권하였다. 『자네는 소문 들으니까 대주호(大酒豪)가 되었다네그려.』 창선은 다시 한번 태호를 보았다. 『무얼 어디 몇 잔 하나. 더구나 이런 술은 독해서…』 『독하긴 무에 독해...
    93 KB (9,976 단어) - 2024년 3월월 14일 (목) 11:42
  • 못ᄒᆞᆯ 事。 第五十一條, 各里의 現在ᄒᆞᆫ 戶數와 人口ᄅᆞᆯ 一一實錄ᄒᆞ야 脫漏ᄒᆞᆷ이 업게 ᄒᆞᆯ 事。 第五十二條, 奴戶ᄅᆞᆯ 主戶에 付치 勿ᄒᆞ고 分戶ᄒᆞ야 應役ᄒᆞᆯ 事。 第五十三條, 戶役等分을 衆議ᄅᆞᆯ 從ᄒᆞ야 公正ᄒᆞ게 ᄒᆞᆯ 事。 第五十四條, 流商과 流民의...
    336 KB (53,361 단어) - 2022년 5월 14일 (토) 02:28
(이전 2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