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공개 기록
보이기
위키문헌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5년 3월 26일 (수) 23:50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색인:조명희 산송장 (1924).pdf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2025년 3월 26일 (수) 16:59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갈잎 피리/물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머리말 | 제목 = 물새 | 다른 표기 =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정순철 | 편집자 = | 역자 = | 연도 = 1929 | 이전 = | 다음 = | 설명 = 《어린이》 5권 5호(1927.5~6월호)에 '물새'라는 동시가 '삼봉'의 이름으로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작사자 허일봉은 허삼봉(허문일)의 오기임을 알 수 있다. }} {{u|{{가운데|{{더크게|'''물 새'''}}}}}}...)
- 2025년 3월 26일 (수) 14:50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갈잎 피리/늙은 잠자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머리말 | 제목 = 늙은 잠자리 | 다른 표기 =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정순철 | 편집자 = | 역자 = | 연도 = 1929 | 이전 = | 다음 = | 설명 = }} {{u|{{가운데|{{더크게|'''늙은 잠자리'''}}}}}} <score sound="1"> \relative c' { \key c \minor \time 4/4 \autoBeamOn es4. es8 f4 g | bes4. g8 f4 es | bes4. es8 f4 g8 bes | bes2. r4 \break c4. bes8 g4 f4 | bes,2 es4 f | g4. bes8 g4 f8 es8 | f2. r4 \b...)
- 2025년 3월 26일 (수) 12:43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갈잎 피리/나뭇잎 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머리말 | 제목 = 나무닙 배 | 다른 표기 =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정순철 | 편집자 = | 역자 = | 연도 = 1929 | 이전 = | 다음 = | 설명 = }} {{u|{{가운데|{{더크게|'''나무닙 배'''}}}}}} <score sound="1"> \relative c'' { \key e \major \time 6/8 \autoBeamOn b4. gis4 fis8 | b,8 e fis gis4. | gis4 b8 cis4 b8 | gis4. (gis4) r8 \break b4 gis8 fis4 e8 | gis fis e cis4. | e4 e8 cis4 e8 | b4. (b4) r...)
- 2025년 3월 25일 (화) 19:50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크리스마스 (방정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크리스마스 |지은이 = 방정환 |역자 = |부제 = |연도 = 1920 |이전 = |다음 = |설명 = 1920년 12월 27일 《조선일보》에 牧星이라는 필명으로 게재되었다. 현재 발견된 것으로는 방정환 최초의 창작 시이다. }} <poem> 銀世上 그 우에 밤은 ᄂᆞ리여 별님 燦爛히 반ᄶᅡᆨ어리고 十字架 飾燈 불이 켜지고 鐘 쇼ᄅᆡ 남니다 敎會堂에셔 貴여운...)
- 2025년 3월 25일 (화) 15:23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크리스마스 문서를 크리스마스 (최남선)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5년 3월 25일 (화) 15:09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불 켜는 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불 켜는 이 |지은이 = 스티븐슨 |역자 = 방정환 |부제 = 어린이 노래 |이전 = |다음 = |설명 = 1920년 8월 《개벽》 3호에 게재한 시. 필명 '잔물'로 발표한 듯한데, 인쇄본에 '잔'자가 탈락되어 '물'이라는 필명으로 발표되었다. 방정환이 '어린이'라는 단어를 맨 처음 쓴 작품으로 보인다. 《어린이》 1928년 1월호에 재수록되면서 제목이 없...)
- 2025년 3월 25일 (화) 12:18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갈잎 피리/여름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머리말 | 제목 = 녀름비 | 다른 표기 =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정순철 | 편집자 = | 역자 = | 연도 = 1929 | 이전 = | 다음 = | 설명 = 방정환의 여름비에 곡을 붙였다. 작사자를 '방정환 역'이라 한 것으로 보아 여름비는 일본의 동시를 번역한 것일 수도 있다. }} {{u|{{가운데|{{더크게|'''녀름비'''}}}}}} <score sound="1"> \relat...)
- 2025년 3월 25일 (화) 12:05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갈잎 피리/길 잃은 까마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머리말 | 제목 = 길 일흔 ᄭᅡ마귀 | 다른 표기 =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정순철 | 편집자 = | 역자 = | 연도 = 1929 | 이전 = | 다음 = | 설명 = 이정호의 가사에 곡을 붙였다. }} {{u|{{가운데|{{더크게|'''길 일 흔 ᄭᅡ 마 귀'''}}}}}} <score sound="1"> \relative c' { \key c \minor \time 6/8 \autoBeamOn es4 f8 g4 c8 | bes4 f8 g4. | c4 bes8 bes8 g es | f4. (f...)
- 2025년 3월 24일 (월) 23:56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송강가사/내 마음 베어 내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머리말 | 제목 = 송강가사 | 다른 표기 = | 부제 = 내 ᄆᆞᄋᆞᆷ 버혀 내어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정철 | 편집자 = | 역자 = | 이전 = [[../이 몸 헐어 내여낸 물의|이 몸 허러 내여낸 믈의]] | 다음 = [[../흥망이 수없으니|흥망이 수업ᄉᆞ니]] | 설명 = }} <pages index="Songganggasa.djvu" from=39 to=40 fromsection="내마음베어내어" tosection="내마음베어내어" /> ==저작...)
- 2025년 3월 24일 (월) 23:52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송강가사/이 몸 헐어 내여낸 물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머리말 | 제목 = 송강가사 | 다른 표기 = | 부제 = 이 몸 허러 내여낸 믈의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정철 | 편집자 = | 역자 = | 이전 = [[../예서 나래를 들어|예셔 ᄂᆞᆯ애ᄅᆞᆯ 드러]] | 다음 = [[../내 마음 베어 내어|내 ᄆᆞᄋᆞᆷ 버혀 내어]] | 설명 = }} <pages index="Songganggasa.djvu" from=39 to=39 fromsection="이몸헐어내여낸물의" tosection="이몸헐어내여낸물...)
- 2025년 3월 24일 (월) 23:47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송강가사/예서 나래를 들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머리말 | 제목 = 송강가사 | 다른 표기 = | 부제 = 일뎡 ᄇᆡᆨ년 산들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정철 | 편집자 = | 역자 = | 이전 = [[../일정 백년 산들|일뎡 ᄇᆡᆨ년 산들]] | 다음 = [[../이 몸 헐어 내여낸 물의|이 몸 허러 내여낸 믈의]] | 설명 = }} <pages index="Songganggasa.djvu" from=39 to=39 fromsection="예서나래를들어" tosection="예서나래를들어" /> ==저작권== {{...)
- 2025년 3월 24일 (월) 23:42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송강가사/일정 백년 산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머리말 | 제목 = 송강가사 | 다른 표기 = | 부제 = 일뎡 ᄇᆡᆨ년 산들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정철 | 편집자 = | 역자 = | 이전 = [[../쥬문답병하삼슈|기울계 대니거니따나]] | 다음 = [[../예서 나래를 들어|예셔 ᄂᆞ래를 드러]] | 설명 = }} <pages index="Songganggasa.djvu" from=39 to=39 fromsection="일정백년산들" tosection="일정백년산들" /> ==저작권== {{PD-old-100}} ...)
- 2025년 3월 24일 (월) 17:20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갈잎 피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머리말 | 제목 = 동요곡집(童謠曲集) 갈닙피리 | 다른 표기 = | 부제 = | 부제 다른 표기 = | 저자 = 정순철 | 편집자 = | 역자 = | 연도 = 1929 | 이전 = | 다음 = | 설명 = 정순철이 1929년 펴낸 동요집. }} * ᄭᅡ치야 (김기진) * 길 일흔 ᄭᅡ마귀 (이정호) * 녀름비 (방정환) * 봄 (한정동) * /나뭇잎 배|나무닙...)
- 2025년 3월 24일 (월) 17:16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저자:정순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글쓴이 |이름 = 정순철 |다른 표기 = 鄭淳哲 |이름 첫 글자 = ㅈ |국적 = 일제 강점기 |탄생 연도 = 1901년 |사망 연도 = 195?년 |설명 = 작곡가 |그림 = |그림 크기 = |위키백과 링크 = 정순철 |위키인용집 링크 = |공용 링크 = |정렬 = 정순철 }} ==동요집== * 갈닙피리 (1929) ** ᄭᅡ치야 (김기진) ** 갈잎 피리/길 잃은 까마귀|길 일...)
- 2025년 3월 24일 (월) 11:49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기울 계 대니거니따나 문서를 송강가사/기울계 대니거니따나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5년 3월 24일 (월) 00:02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토론:이바 이 집사람아 문서를 토론:송강가사/이 봐 이 집 사람아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5년 3월 24일 (월) 00:02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이바 이 집사람아 문서를 송강가사/이 봐 이 집 사람아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5년 3월 23일 (일) 23:59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토론:뉴령은 언제 사람 문서를 토론:송강가사/뉴령은 언제 사람고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5년 3월 23일 (일) 23:59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뉴령은 언제 사람 문서를 송강가사/뉴령은 언제 사람고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5년 3월 23일 (일) 23:57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토론:쓴 나믈 데온 물이 문서를 토론:송강가사/쓴 나물 데운 물이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5년 3월 23일 (일) 23:57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쓴 나믈 데온 물이 문서를 송강가사/쓴 나물 데운 물이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5년 3월 23일 (일) 23:45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토론:봉내산 님 계신 대 문서를 토론:송강가사/봉래산 님 계신데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5년 3월 23일 (일) 23:45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봉내산 님 계신 대 문서를 송강가사/봉래산 님 계신데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5년 3월 23일 (일) 23:41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토론:광화문 드리다라 문서를 토론:송강가사/광화문 드리다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5년 3월 23일 (일) 23:41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광화문 드리다라 문서를 송강가사/광화문 드리다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5년 3월 23일 (일) 23:28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남진 죽고 우는 눈물 문서를 송강가사/남진 죽고 우는 눈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5년 3월 23일 (일) 15:08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송강가사/십뉵재현경민편 문서를 송강가사/강원도 백성들아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5년 3월 23일 (일) 14:47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송강가사/셕쥬권공필글 문서를 송강가사/훈민가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5년 3월 23일 (일) 11:21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조선동요백곡집/돌맹이 문서를 조선동요백곡집/돌멩이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 2025년 3월 22일 (토) 17:40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두시언해 중간본 01-05.pdf/7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옛한글쪽 시작}} 屢得飲馬窟 【飲馬窟ᄋᆞᆫ 賊兵ᄋᆡ ᄆᆞᆯ 머기던 므리라 ○ 알ᄑᆞ로 寒山이 重疊ᄒᆞᆫ ᄃᆡ로 올라가 ᄆᆞᆯ 머기던 므를 ᄌᆞ조 어더 보라】 邠郊入地底 涇水中蕩潏 【邠郊ᄂᆞᆫ 雍州ㅅ ᄯᅡ히라 入地底ᄂᆞᆫ 盜賊의게 陷沒ᄒᆞ믈 니ᄅᆞ니라 涇ᄋᆞᆫ 水名ㅣ라 中은 {{?}}涇二州之中ㅣ라 潏은 水流皃ㅣ라 蕩潏은 兵戈ㅣ 未靜호ᄆᆞᆯ...) 태그: 교정 안 됨
- 2025년 3월 22일 (토) 12:31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선조어필언간 정숙옹주에게 (1603).jp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옛한글 시작}} {{더크게|글월보고도ᄃᆞᆫ거ᄉᆞᆫ그방이어둡고}}{{작게|너역질ᄒᆞ던방}} {{더크게|날도陰ᄒᆞ니日光이도라디거ᄃᆞᆫ내親 히보고ᄌᆞ셰긔별호마대강用樂ᄒᆞᆯ이}} 리이셔도醫官醫女ᄅᆞᆯ드려待令ᄒᆞ}} 려ᄒᆞ노라분별말라ᄌᆞ연아니됴히ᄒᆞ 랴}} :{{크게|萬曆三十一年癸卯 復月十九日巳時}} {{옛한글 끝}}) 태그: 교정 안 됨
- 2025년 3월 22일 (토) 12:26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색인:선조어필언간 정숙옹주에게 (1603).jp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2025년 3월 21일 (금) 19:57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노자영 (1923) 일리아드.pdf/40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섯다. 蕩蕩히 넘처 흐르는 겨울의 달는 물갓치, 그는 戰場을 ᄯᅱ여 도랏다. 이르는 곳마다 敵의 무리를 물니첫다. 문득 {{드러냄표|판도라쓰|sesame}}는, 날카로운 화살을 쏘아 {{드러냄표|ᄯᅦ오메데쓰|sesame}}의 가슴을 ᄭᅦ엿다. {{드러냄표|ᄯᅦ오메데스}}의 갑옷은 어느듯 붉은 피에 물드럿다. {{드러냄표|판도라쓰|sesame}}는 놉히 고함을 첫다. 『힘쓰라! {{드러냄표|...) 태그: 교정 안 됨
- 2025년 3월 21일 (금) 19:52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노자영 (1923) 일리아드.pdf/39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치, 英雄豪傑은 서로 이어서 걱구러젓다. 몬저 {{드러냄표|트로이|open triangle}} 사람이 너머지자, ᄯᅡ라서 {{드러냄표|그리샤|open triangle}} 勇士가 걱구러지고, 이리하야 그 날의 싸홈에는 數업는 {{드러냄표|트로이|open triangle}}, {{드러냄표|그리샤|open triangle}}의 名將들이, 서로 싸이어 틔ᄭᅳᆯ 속에 가로누엇다. 이러할 동안, 女神 {{드러냄표|아데네|sesame}}는 다라와...) 태그: 교정 안 됨
- 2025년 3월 21일 (금) 15:56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노자영 (1923) 일리아드.pdf/38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말을 긋치라. {{드러냄표|아가멤논|sesame}}은 우리의 大王이다. 大王으로서 部下에게 싸홈을 命하는 것은 堂堂한 權利다. 우리가 만일 {{드러냄표|트로이|open triangle}} 사람들을 처서 破하고, 우리가 우리가 {{드러냄표|트로이|open triangle}} 고을을 占領하면, 大王은 果然 깃버하려니와, 우리가 만일 敗하야, {{드러냄표|트로이|open triangle}} 사람에게 죽음을 當하고 틔ᄭ...) 태그: 교정 안 됨
- 2025년 3월 21일 (금) 15:50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노자영 (1923) 일리아드.pdf/37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예, 女神 {{드러냄표|아데네|sesame}}가 살을 틀지 아니 하엿든들, {{드러냄표|메네로―쓰|sesame}}의 가슴은 날카로운 살에 ᄭᅦ이엇스리라 그러나 女神의 도움으로, 살은 겨오 갑옷을 ᄯᅮᆯ코 적은 傷處를 내엿슬 ᄲᅮᆫ이다. 그러나 오히려 그 傷處로브터, 시컴언 피는 쏘알 나왓다. 어느덧 軍醫는 이르러서, {{드러냄표|메네로―쓰|sesame}}의 傷處로브터 화살을 ᄲᅢ고...) 태그: 교정 안 됨
- 2025년 3월 21일 (금) 15:45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페이지:노자영 (1923) 일리아드.pdf/36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교정 안 됨: 새 문서: 黃金의 林檎을 다토든 뒤로브터, {{드러냄표|파리쓰|sesame}}를 미워하는 마음이 한時도 가슴을 ᄯᅥ나지 아니하는 女神 {{드러냄표|헤라|sesame}}와 {{드러냄표|아데네|sesame}}는, 이제 {{드러냄표|파리쓰|sesame}}와 {{드러냄표|메네로―쓰|sesame}}와의 決鬪가 將次 ᄭᅳᆺ흘 마치고, {{드러냄표|파리쓰|sesame}}의 몸이 다시 平安한 곳으로 도라 가려 함을 보고는, 참아 그대로 잇...) 태그: 교정 안 됨
- 2025년 3월 21일 (금) 00:01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입암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입암가 |다른 표기 = 立巖歌 |지은이 = 박인로 |역자 = |부제 = |연도 = |이전 = |다음 = |설명 = 29수의 시조가 실려 있다. 판본에 따라 누락된 시조도 있다. }} {{옛한글}} {{옛한글 시작}} ==立巖(입암)== <poem> {{작게|時旅軒張先生寓居本郡北立巖。公嘗從遊。代旅軒作此歌。}} 無情(무정)이 서ᄂᆞᆫ 바회 有情(유정)ᄒᆞ야 보이ᄂᆞ다 最靈...)
- 2025년 3월 20일 (목) 22:43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자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자경 |다른 표기 = 自警 |지은이 = 박인로 |역자 = |부제 = |연도 = |이전 = |다음 = |설명 =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oem> 明鏡(명경)에 틔 ᄶᅵ거던 갑 주고 닷글 줄 아희 어룬 업시 다 밋쳐 알건마ᄂᆞᆫ 갑 업시 닷글 明德(명덕)을 닷글 줄을 모ᄅᆞᄂᆞ다 誠意關(성의관) 도라 드러 入德門(입덕문) ᄇᆞ라 보니 크나큰 ᄒᆞᆫ 길이...)
- 2025년 3월 20일 (목) 22:41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노주유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노주유거 |다른 표기 = 蘆洲幽居 |지은이 = 박인로 |역자 = |부제 = |연도 = |이전 = |다음 = |설명 =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oem> 어화 아ᄒᆡ들아 후리치고 가자ᄉᆞ라 田園(전원)이 뷔엇거니 엇지 아니 가로소냐 道川上(도천상) 明月淸風(명월청풍)이 날 기ᄃᆞ리기 오ᄅᆡ니라 </poem>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
- 2025년 3월 20일 (목) 22:39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모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모현 |다른 표기 = 慕賢 |지은이 = 박인로 |역자 = |부제 = |연도 = |이전 = |다음 = |설명 =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oem> 반가올샤 오ᄂᆞᆯ ᄭᅮᆷ에 首陽隱士(수양은사) 보완제고 正色愀然(정색초연)ᄒᆞ고 날ᄃᆞ려 ᄒᆞᄂᆞᆫ 말ᄉᆞᆷ 至今(지금)에 叩馬(고마)ᄒᆞ던 忠義(충의)를 못ᄂᆡ 이져 ᄒᆞ더라 汨羅(멱라) ᄂᆞ린 물...)
- 2025년 3월 20일 (목) 22:27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사친 (박인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사친 |다른 표기 = 思親 |지은이 = 박인로 |역자 = |부제 = |연도 = |이전 = |다음 = |설명 =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oem> 霜露(상로) 旣降(기강)ᄒᆞ니 ᄇᆞᆯ기도 悽愴(처창)코야 이옷시 열다 ᄒᆞ야 치위 저허 그러 ᄒᆞ랴 一生(일생)애 永慕方寸(영모방촌)의 문득 늣겨 ᄒᆞ로라 </poem> {{옛한글 끝}} ==저작권== {{PD-old-100}} 분류:시...)
- 2025년 3월 20일 (목) 22:13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초정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초정가 |다른 표기 = 椒井歌 |지은이 = 박인로 |역자 = |부제 = |연도 = 1621 |이전 = |다음 = |설명 = 박인로의 문집 《노계집》에 제목이 없이 실려 있으나, 초정가 또는 '여정한강욕우울산초정'이라 부른다. 1621년(신유년) 정구(鄭逑)와 함께 울산 초정에 가서 지은 것으로 돼 있으나 정구는 1619년 혹은 1920년에 사망하였으므로 연도 착오로...)
- 2025년 3월 20일 (목) 20:47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오륜가 (박인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오륜가 |다른 표기 = 五倫歌 |지은이 = 박인로 |역자 = |부제 = |연도 = |이전 = |다음 = |설명 = }} {{옛한글}} {{옛한글 시작}} ==父子有親(부자유친)== <poem> 아비ᄂᆞᆫ 나ᄋᆞ시고 어미ᄂᆞᆫ 치옵시니 昊天罔極(호천망극)이라 갑흘 길이 어려우니 大舜(대순)의 終身誠孝(종신성효)도 못다한가 ᄒᆞ노라 人生(인생) 百歲中(백세중)에 疾...)
- 2025년 3월 20일 (목) 12:48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노계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노계가 |다른 표기 = 蘆溪歌 |지은이 = 박인로 |역자 = |부제 = |연도 = 1636 |이전 = |다음 = |설명 = }} {{옛한글}} {{옛한글 시작}} <poem> 白首(백수)에 訪水尋山(방수심산) 太晩(태면)ᄒᆞᆫ 줄 알건마ᄂᆞᆫ 平生(평생) 素志(소지)를 벱고야 말랴 너겨 赤鼠(적서) 三春(삼춘)에 春服(춘복)을 새로 닙고 竹杖芒鞋(죽장망혜)로 蘆溪(노계) 깁흔...)
- 2025년 3월 20일 (목) 07:52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영남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영남가 |다른 표기 = 嶺南歌 |지은이 = 박인로 |역자 = |부제 = |연도 = 1635 |이전 = |다음 = |설명 = }} {{옛한글}} {{작게|乙亥。李相國謹元按節嶺南。布德宣化。視一道如一家。當遞。民皆感恩而願留。故公作歌以讚美之。}} {{옛한글 시작}} <poem> 嶺南(영남) 千里外(천리외)예 壬辰(임진) 變後(변후) 나믄 百姓(백성) 賊路(적로) 初頭(초두)...)
- 2025년 3월 19일 (수) 20:51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조홍시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조홍시가 |다른 표기 = 早紅柹歌 |지은이 = 박인로 |역자 = |부제 = |연도 = 1601 |이전 = |다음 = |설명 = }} {{옛한글}} {{작게|辛丑九月初。漢陰相公饋公早紅柹。公因時物有感而作。}} {{옛한글 시작}} <poem> 盤中(반중) 早紅(조홍)감이 고아도 보이ᄂᆞ다 柚子(유자) 안이라도 품엄즉도 ᄒᆞ다마ᄂᆞᆫ 품어가 반기리 업슬ᄉᆡ 글노 설워...)
- 2025년 3월 19일 (수) 16:59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누항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누항사 |다른 표기 = 陋巷詞 |지은이 = 박인로 |역자 = |부제 = |연도 = 1611 |이전 = |다음 = |edition = true |설명 = 박인로가 지은 가사. 후손들이 발간한 《노계집》 3권에 실려 있다. }} {{옛한글}} {{작게|公從遊漢陰相公。相公問公山居窮苦之狀。公乃述己懷作此曲。}} {{옛한글 시작}} <poem> 어리고 迂闊(우활)ᄒᆞᆯ산 이ᄂᆡ 우ᄒᆡ 더니...)
- 2025년 3월 19일 (수) 16:04 ZornsLemon 토론 기여님이 사제곡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머리말 |제목 = 사제곡 |다른 표기 = 莎堤曲 |지은이 = 박인로 |역자 = |부제 = |연도 = 1613 |이전 = |다음 = |edition = true |설명 = 박인로가 지은 가사. 후손들이 발간한 《노계집》 3권에 실려 있다. {{글로벌 인용|가사 문학}} }} {{옛한글}} {{작게|莎堤。地名。在龍津江東距五里許。卽漢陰李相公江亭所在處也。公代相公作此曲。}} {{옛한글 시작}} <poem>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