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이상화
보이기
←분류:저자 ㅇ ←분류:일제 강점기의 저자 |
이상화 李相和 (1901년 ~ 1943년) |
참고 ![]() ![]() |
저작
[편집]시
[편집]- 말세의 희탄(欷嘆) (1922.12) 백조 1호
- 단조(單調)
- 가을의 풍경 (1923.5) 백조 2호
- To
- 나의 침실로 (1923.9) 백조 3호
- 이중의 사망
- 마음의 꽃
- 독백 (1923.10.26) 동아일보
- 허무 교도의 찬송가 (1924.12) 개벽 54호
- 방문 거절
- 지반정경(池畔靜景)
- 단장 5편 (舊稿) (1925.1) 개벽 55호
- 이별을 하느니 (1925.3) 조선문단 6호
- 폭풍우를 기다리는 마음 (1925.3) 개벽 57호
- 바다의 노래
- 구고(舊稿) 2장 (1925.5) 개벽 59호
- 금강송가 (1925.6) 여명 2호
- 청량 세계
- 오늘의 노래 (1925.7) 개벽 61호
- 몽환병 (1925.10) 조선문단 12호
- 시 3편 (1926.1) 개벽 65호
- 동경에서 (1926.1) 《문예운동》 1호
- 본능의 노래 (1926.1.4) 시대일보
- 원시적 읍울(悒鬱) (1926.3) 개벽 67호
- 이 해를 보내는 노래
- 시인에게 (1926.4) 개벽 68호
- 통곡(慟哭)
- 먼 기대 (1926.5) 《문예운동》 2호
- 서러운 조화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1926.6) 개벽 70호
- 비 갠 아침
- 달밤- 도회(都會)
- 동녀심초(童女心草)(詩) (1926.6) 신여성
- 병적 계절 (1926.11) 조선지광 61호
- 지구 흑점의 노래 (1926.11) 별건곤 1호
- 저무는 놀 안에서 (1928.7) 조선지광 69호
- 비를 다고 (1928.7)
- 곡자사(哭子詞) (1929.6) 조선문예 2호
- 대구 행진곡 (1930.10) 별건곤 33호
- 예지(叡智) (1932.10) 만국부인 1호
- 반딧불 (1933.7) 신가정 7호
- 농촌의 집 (1933.10.10.) 조선중앙일보
- 역천 (1935.4) 시원 2호
- 나는 해를 먹다 (1935.12) 조광 2호
- 서러운 해조(諧調) (1941.4) 문장 25호
- 교남학교 교가
미발표 시
[편집]시조
[편집]- 기미년 (己未年)
번역시
[편집]- 새 세계 G. W. Russel (1925.10) 신민 6호